최저임금 인상, 속 타는 유통업계 "이러다 다죽는다"
상태바
최저임금 인상, 속 타는 유통업계 "이러다 다죽는다"
  • 이준영 기자
  • 승인 2018.01.08 1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년대비 월22만1540원원 상승... 인력 감축 불가피
정부·본사 지원책 턱없이 부족... 점주들 "남는게 없다"

급격히 오른 최저임금으로 유통업계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급격히 오른 최저임금을 보전하는 것이 사실상 쉽지 않기 때문. 결국 인원감축·휴게시간 늘리기 등의 꼼수가 나올 수밖에 없고, 모든 피해는 근로자에게 전가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올해 최저임금은 전년보다 16.4%오른 시급 7530원이다. 이를 월급으로 환산하면 157만3770원이 된다. 전년도 최저임금 월 환산기준인 135만2230원과 비교하면 월급여는 22만1540원이 오른셈이다.

단순히 최저임금 157여만 원의 문제가 아니다. 각종 야근·주휴·연장수당등을 포함하면 총 급여는 대폭상승한다. 한 편의점주는 "오른 최저임금과 각종 수당을 챙기면 사장인 나보다 알바가 더 많은 급여를 받기도 한다"고 토로했다.

따라서 최저임금에 밀접한 편의점은 무인시스템 운영을 고민하고 있고, 경비·청소 근로자들의 대량해고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또한 프랜차이즈 대부분은 가격인상과 인력감축을 병행해 수익을 보전하고자 몸부림치고 있다.

▲ 영세 외식매장 점주 '남는게 없다'

많은 알바를 사용하는 프랜차이즈 업계는 울상을 짓고 있다. 떡볶이 프랜차이즈 점주를 하고 있는 홍 모씨는 "원재료 값, 세금, 임대료, 알바 급여를 주고나면 사실상 남는게 없다"고 하소연했다.

약 12명의 알바와 2명의 주방 아주머니를 사용하고 있는 이 매장은 최소 250만원의 지출이 추가로 발생된다. 불황으로 매출도 줄어들고 있어, 매장운영이 더욱 어려워졌다.

그는 "알바를 줄이고 내가 밤낮으로 뛸 수밖에 없다"며 "최저임금 상향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무턱대로 올리고, 나몰라라 하는 것이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결국 가격을 올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데 그러면 여론도 안좋아져 경쟁 업체에게 고객을 뺏길까 걱정이다. 치킨 값도 결국 올렸다가 호되게 욕먹고 원상복구 하지 않았나"라고 말했다.

우선은 알바들의 근무시간을 조정해 피크타임때 많은 인원을 운영하고, 그 외 시간은 최소한의 인력을 사용해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다. 이에 알바들은 일을 더 하고 싶다고 반발하지만 점주 입장에선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 턱없이 부족한 '지원책'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영세사업주 부담완화를 위해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우선 근로자 수가 30인 이하인 사업주에게 근로자 1인당 최대13만원씩 1년간 지원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또한 30인 이상 사업장이라해도 최저임금 인상에 민감한 업체나 해고위험에 노출돼 있는 공동주택 경비원, 청소원들도 대상에 포함된다. 하지만 월22만원이 상향되는 최저임금인데 고작13만원을 지원하는 것은 정부의 생색내기라는 지적이다.

한 사업주는 "크게 실효는 없다. 당장의 미봉책이 아닌 상생할 수 있는 큰 그림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정부와는 별개로 각 프랜차이즈 본사들도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우선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상생협약을 발표해 가맹점 생애관리 프로그램 도입에 연800~900억원을 지원하고, 점포 운영 시스템 고도화에 연간 총 6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GS25를 운영중인 GS리테일은 5년간 9000억원 규모의 가맹점주 지원대책을 내놓았다. 이와 함께 세븐일레븐, 미니스톱도 연내 상생안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마트24는 모기업인 신세계에 재정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지원책은 턱없이 모자르다는 것이 점주들의 의견이다. CU편의점을 운영하는 한 점주는 "지원책 대부분이 신규점포에 대한 것일 뿐 기존 점포에 대해선 전산·간판 유지관리비와 심야전기료 정도로 월4~5만원선"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