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發 물가상승 전방위 확산... 정부는 "영향 제한적"
상태바
최저임금發 물가상승 전방위 확산... 정부는 "영향 제한적"
  • 이준영 기자
  • 승인 2018.04.10 06: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산물·외식비 각각 4.7%, 2.5% 인상, 정부 물가관리 강화 방침
주요 프랜차이즈·식품 가격인상, “인건비 부담으로 어쩔 수 없어”
수도권 지하철·택시 가격인상 ‘만지작’… 지자체들도 인상 움직임
사진=픽사베이

올해 16.4%로 급등한 최저임금 영향이 산업 전방위로 확산되며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은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국민 간식 치킨의 인상 등 주요 식품 및 프랜차이즈가 가격인상을 속속 내놓고 있는 가운데 택시·지하철 등의 공공요금도 인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6·13 지방선거 이후 상·하수도 등의 인상이 본격화될 것을 보인다.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3% 올랐다. 전체 소비자물가는 6개월 연속 1%대 상승률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농산물과 외식비가 각각 4.7%, 2.5% 올랐다.

정부는 "내수·성장률 전망이 긍정적이고 물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적다"며 "농수산물 수급, 외식비 감시 등 물가관리를 강화 할 것"이라고 홍보에 치중하고 있지만 서민들 반응은 냉랭하기만 하다.

◇ 외식·식품업계 줄줄이 인상… 치킨 ‘2만원’ 시대

가격인상이 가장 두드러지는 곳은 외식업계다. 최저임금과 가장 맞물려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업계 주장이지만 국민 간식인 치킨이 2만원까지 치솟아 오르면 서민들의 소소한 즐거움도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리아, KFC, 맥도날드, 버거킹, 맘스터치 등 버거 브랜드를 비롯해 커피빈, 놀부부대찌개, 신선설농탕, 신전떡볶이, 이삭토스트, 써브웨이, 파리바게뜨 등 유명 프랜차이즈들이 가격을 올렸다.

작년 치킨 파동으로 가격인상을 유보했던 치킨 업계도 결국 올해 가파르게 오른 최저임금 인상의 부담으로 가격을 올릴 예정이다.

교촌치킨은 다음 달 1일부터 전국 가맹점에서 배달 주문 시 건당 2천원의 배달서비스 이용료를 받을 예정이다. 교촌치킨 허니콤보가 1만8000원이니 배달해 먹으면 2만원을 지불해야한다. 매장 방문보다 배달매출이 더 높은 치킨업계 특성상 사실상 치킨 값은 2만원이나 마찬가지다. 교촌치킨을 필두로 BHC, BBQ도 배달료를 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피자·빵 프랜차이즈들도 가격을 인상한다는 방침이다. 피자헛과 미스터피자가 배달최소 결제 금액을 올린데 이어 도미노피자는 지난 6일부터 피자 라지 사이즈는 1000원, 미디엄 사이즈는 500원을 인상했다. 대형 프랜차이즈 외에도 영세·소규모 동네 가게도 가격을 올리고 있어, 소비자가 실감하는 가격 인상폭은 더 크다.

일반 식품 가격도 줄줄이 인상되고 있다.

롯데제과 빼빼로와 목캔디 가격을 14.3%~25% 인상했고, 한국야쿠르트는 야쿠르트 외 2개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CJ제일제당은 냉동만두, 즉석밥, 햄, 어묵 등의 가격을 올려 서민들이 즐기는 외식·간식가격이 대부분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프랜차이즈 점주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으로 어쩔 수 없다”며 “배달수수료·원재료값 등 모든 것이 총체적으로 올라서 실제 순이익 보장을 위해선 현재보다 더 가격을 인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선설농탕 가격인상 공고문. 사진= 신선설농탕

◇ 공공요금도 ‘들썩’… 선거 이후 본격 추진 가능성

올해 하반기엔 지하철·택시 등 대중교통비도 인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5년째 동결중인 택시요금 인상을 검토중이다. 기본요금을 기존 3000원에서 25%상향된 4500원까지 인상 혹은 기본요금 15%인상한 3900원으로 하고 사납금을 동결하는 방안 등을 검토중이다. 경기도도 택시요금 인상을 위해 연구용역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또한 서울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가 내년 지하철 기본요금을 200원 인상하는 방안을 서울시에 건의했다.

이러한 공공요금 인상은 6·3지방선거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수도권 지자체는 주요 대중교통 요금인상을 추진중이고, 다른 지자체들도 선거 이후 본격적으로 대중교통을 비롯한 상·하수도 등의 요금 인상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 선거가 끝나면 요금인상을 추진하는데 부담이 덜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물가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최근 물가가 오른 무·쌀·수산물에 대한 수급 관리를 강화해 적정 가격이 유지되도록 하고 체감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외식비는 원가분석 등 소비자단체와 연계한 가격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