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리스크 확산... 증권사 신임 CEO, '발등의 불'부터 끈다
상태바
부동산PF 리스크 확산... 증권사 신임 CEO, '발등의 불'부터 끈다
  • 유명환 기자
  • 승인 2024.01.02 1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대 증권사 중 6곳 사장 교체
지난해 대손충당금 9452억원 확보
태영건설 부도 여파로 자금회수 난항
해외부동산 침체로 리스크 확대 높아져
KB, NH투자, 메리츠, 미래에셋, 삼성, 신한투자, 키움, 하나, 한국투자 등 대형 증권사 9곳이 2018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5년여간 장애인 미고용으로 납부한 부담금 합계가 25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시장경제신문DB
KB, NH투자, 메리츠, 미래에셋, 삼성, 신한투자, 키움, 하나, 한국투자 등 대형 증권사 9곳이 2018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5년여간 장애인 미고용으로 납부한 부담금 합계가 25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시장경제신문DB

국내 10대 증권사 중 6곳의 최고경영자(CEO)가 새로운 인물로 교체됐다. 최근 증권가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우려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신임 경영자들의 대응 또한 주목된다. 

2일 증권가에 따르면 부동산 관련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최근 교체된 신임 CEO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지난해 말 국내 10대 증권사(자기자본 기준) 중 최고경영자(CEO)가 교체된 곳은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메리츠증권, 키움증권 등 6곳이다. 지난달 금융당국으로부터 문책경고 중징계를 받은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도 교체 가능성이 열려 있다.

5년 이상 장기적으로 자리를 지켜온 증권사 수장이 대거 바뀐 것에 대해 증권가는 지난해 유난히 많이 터진 금융사고와 투자 손실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새로 선임된 CEO 상당수가 조직과 리스크 관리 경험이 많은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시각이다.

금융당국 역시 증권사에 충당금 늘리기를 꾸준히 주문해 오고 있다. 황선오 금융감독원 금융투자 부원장보는 한 간담회에서 “대손충당금 적립 등으로 손실 흡수 능력을 확보해 증권사 유동성 및 건전성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부원장보는 지난 7월에도 “최근 침체된 부동산시장 상황을 반영하는 등 충당금 산정 기준을 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NH·삼성·하나·KB·메리츠·신한투자증권 등 자기자본 기준 5조원 이상 증권사의 지난해 3분기(9월 말 기준) 대손충당금은 약 945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55%가량 증가한 수치다.

대손충당금 증가는 최근 2년간 이어진 부동산 PF 부실 등이 주요 원인이다. 자금회수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판단 하에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 증권사 중 지난해 3분기 가장 많은 대손충당금을 쌓은 곳은 신한투자증권으로 3,609억원을 적립했다. 신한투자증권에 이어 하나증권은 총 155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8.37%(493억원) 증가했다. 이로 인해 지난해 3분기 하나증권은 489억원에 달하는 순손실을 기록했다. 한국투자증권과 메리츠증권도 각각 1304억원, 1074억원의 대손충당금을 만들었다.

증권사들의 충당금은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부동산 경기가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고, 최근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여파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태영건설의 직접 차입금은 은행·증권사·자산운용사 등 80곳에서 회사채와 담보대출, 기업어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 총 1조 300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직접 차입금 외에 태영건설이 PF 대출 보증을 선 사업장은 총 122곳, 대출 보증 규모는 9조1816억원으로 집계된다.

해외 부동산 역시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해외 부동산 투자와 관련해 3분기에 400억원가량의 충당금을 쌓았다. 하나증권도 해외부동산 관련 손실 551억원을 3분기 충당금에 반영했다.

이는 증권가의 4분기 실적에도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와 해외 부동산 관련 부실 우려가 부각되고 있으며, 금리 변동성이 10월부터 상당히 높아져 트레이딩 수익 감소도 불가피하다”며 “4분기 실적에 대한 눈높이를 낮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관련 영향이 내년 1분기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