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제 계산법... 대법, "하루 아닌 주단위 계산이 정확"
상태바
주 52시간 근무제 계산법... 대법, "하루 아닌 주단위 계산이 정확"
  • 최지흥 기자
  • 승인 2023.12.25 12: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법, 연장근로 한도 하루 아닌 주 단위 계산 판결
하루 몇 시간 근무 무관, 1주간 총근로시간 합산 기준
연장근로 한도 위반 여부 계산 기준 첫 판결 사례
주 52시간 근무제 준수 여부를 따질 때 하루가 아닌 주 단위 근무 시간이 기준이라는 대법원 판단이 나오면서 그동안 혼란스러웠던 주 52시간 근무제 계산법이 명확해질 전망이다. 사진=최지흥 기자
주 52시간 근무제 준수 여부를 따질 때 하루가 아닌 주 단위 근무 시간이 기준이라는 대법원 판단이 나오면서 그동안 혼란스러웠던 주 52시간 근무제 계산법이 명확해질 전망이다. 사진=최지흥 기자

주 52시간 근무제 준수 여부를 따질 때 하루가 아닌 주 단위 근무 시간이 기준이라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주 52시간 근무제 계산법에 대한 논란이 일단락될 전망이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민유숙 대법관)는 근로기준법·근로자퇴직급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이모씨의 혐의를 일부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하면서 "주 52시간 근무제를 준수했는지 여부를 따질 때는 1일 8시간 초과분을 각각 더하는 것이 아니라 주간 근무 시간을 모두 더한 뒤 초과분을 계산하는 게 맞다"고 밝혔다.

이씨는 2013∼2016년 근로자에게 퇴직금과 연장근로수당을 제때 지급하지 않고 연장근로 한도를 총 130회 초과해 일하게 한 혐의로 기소돼 1·2심에서 이씨의 혐의가 일부 유죄로 인정돼 벌금 100만원을 선고 받았다.

하지만 이씨는 이에 불복, 상고심에서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 한도의 위반 여부를 따지는 계산 기준을 쟁점으로 새로운 판결을 받게 됐다.

이씨가 운영하는 회사의 근로자는 3일 근무 후 하루 휴식하는 식으로 일했다. 이에 따라 일주일에 보통 5일을 근무했으나 어떤 주는 3일, 4일, 또는 6일씩 근무하기도 했다. 주 52시간제가 실시되기 이전이었으나 휴일에는 일하지 않았으므로 법적인 근로 한도는 최대 52시간이었다.

기존 항소심 법원은 근로자가 하루에 8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시간을 각각 계산한 뒤 이를 합산한 값이 일주일에 12시간을 초과했는지 따졌다.

이 방식대로라면 가상의 근로자 A씨가 1주일 중 2일은 15시간, 3일은 6시간 일한 경우 1주간 연장근로시간은 14시간이어서 근로기준법 위반이 된다.

그러나 대법원의 판단은 달랐다. 대법원은 "연장근로가 12시간을 초과하였는지는 근로 시간이 1일 8시간을 초과했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1주간의 근로 시간 중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로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즉, 하루에 몇 시간을 근무했는지 와는 무관하게, 1주간 총근로시간을 합산한 값이 40시간을 초과해 총 52시간에 달하는지를 기준으로 근로기준법 위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취지의 판결이다.

이 계산법에 따른다면 A씨의 1주간 연장근로시간은 8시간이어서 근로기준법을 위반하지 않는 결과가 나온다.

대법원은 "근로기준법은 연장근로시간의 한도를 1주간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을 뿐이고 1일을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않다"며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는 1주간의 기준 근로 시간을 초과하는 근로를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법원은 항소심이 유죄로 인정한 109회 중 3회는 연장근로 한도를 초과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한편 이번 대법원 판결은 주간 40시간을 초과한 근로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방식이 타당하다고 최초로 판단한 사례로 평가된다.

또한 1주간 12시간의 연장근로 한도를 계산하는 방법에 관해 하급심 판결이나 실무에서 여러 방식이 혼재돼 있던 부분을 정리하고 기준을 명확히 한 사례로 앞으로 관련 판결에 큰 영향을 줄 전망이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