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 이어 공공요금 줄인상... 물가폭탄 '째깍째깍'
상태바
전기료 이어 공공요금 줄인상... 물가폭탄 '째깍째깍'
  • 오창균 기자
  • 승인 2021.09.26 13: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월 소비자물가 연중 최고치 기록
정부, 8년 만에 전기요금 인상
도시가스 요금, 11월 인상 무게
홍남기 경제부총리. 사진=시장경제DB
홍남기 경제부총리. 사진=시장경제DB

밥상 물가 뿐만이 아니다.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인상된다. 정부는 올해 내세운 물가 안정 목표치(2.1%)를 사수하기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6% 상승해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4월부터 5개월 연속으로 2%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의 가격 체감이 큰 농·축·수산물이 7.8% 증가했다. 달걀 가격은 54.6% 뛰어 올해 1월(15.2%)부터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우유가격도 오른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원유가격 인상으로 인해 흰 우유(1ℓ) 기준 제품 가격을 5.4% 인상한다고 23일 밝혔다. 서울우유가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2018년 이후 3년 만이다. 서울우유를 시작으로 다른 업체도 잇따라 우유가격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유제품이 들어간 빵·과자 값도 껑충 뛸 전망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공공요금 인상까지 예고된 상황이다. 

정부와 한국전력은 최근 10월부터 적용하는 전기요금을 kWh(킬로와트시)당 3원 인상한다고 밝혔다. 전기요금 인상은 약 8년 만이다. 4인 가구 평균 사용량 350kWh의 경우 매달 약 5만4,000원에서 5만5,050원으로 1,050원씩 전기 요금을 더 내야 한다.

도시가스 요금은 11월 인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국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LNG(액화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부터 LNG 가격은 가파르게 올랐지만 정부는 9월에도 도시가스 요금을 동결했다. 하지만 다음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11월에도 인위적 동결을 선택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미 기획재정부에 11월에 가스요금을 올려야 한다는 요구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통 요금 인상도 대기 상태다. 특히 10년간 요금이 오르지 않았던 철도에 대한 인상 압박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 사태 직격탄을 맞은 철도공사는 지난해 1조3,427억원 적자를 낸 데 이어 올해 역시 1조1,779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부채비율도 올해 297.2%까지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버스·지하철·택시 요금 인상 가능성도 높다. 서울은 교통카드 기준 기본요금이 지하철 1,250원, 시내버스 1,200원으로 6년째 묶여있다. 인천과 울산은 2015년 이후, 대구는 2016년 이후 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하지 않았다. 오랜 기간 요금을 올리지 않은 지자체들은 물가 상승, 승객 감소, 유가 상승이 겹쳐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은다. 아울러 도로공사는 고속도로 통행료 인상을 정부에 건의하겠다는 입장이다. 고속도로 통행료는 2015년 4.7% 인상한 이후 6년째 동결되고 있다.

이밖에도 상하수도 요금과 쓰레기 종량제 봉투 가격 등이 연이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과 강릉은 지난 7월분부터 이미 상하수도 요금을 올렸다. 제주는 내년 1월부터 상수도 요금을 평균 5%, 하수도 요금을 평균 20% 올리기로 했다. 인천은 향후 3년간 하수도 요금을 평균 10%씩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세종도 2025년까지 상하수도 요금을 단계적으로 올릴 방침이다.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경우 인천은 서구를 제외한 9개 군·구에서 가격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강원은 2023년까지 20ℓ 기준 가격을 480원에서 560원으로 올리겠다는 구상이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