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닫고, 잘리고... 4050대 49만명이 직장서 짐 쌌다
상태바
문닫고, 잘리고... 4050대 49만명이 직장서 짐 쌌다
  • 김보라 기자
  • 승인 2020.02.17 15: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 '연도별 퇴직자 현황' 분석
비자발적 퇴직자 5년 만에 최대치... "특히 4050 늘어"
직장 휴폐업·정리해고·사업부진 등 이유로 직장 잃어
사진=시장경제신문DB
사진=시장경제신문DB

지난해 40대와 50대의 비자발적 퇴직자가 50만 명에 육박하며 5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전 연령층 가운데 10대와 40·50대에서만 늘었다.

특히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중 직장의 휴·폐업,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으로 인해 직장을 잃은 사람들이 급증했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연도별 퇴직자(12월 조사 기준) 현황'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000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2014년(55만2000명)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다. 

연도별 퇴직자는 매년 12월 조사 기준으로 당해연도에 퇴직해 12월 조사 시점까지 실직 상태인 사람 수를 파악한 것이다. 

통계청은 이직 사유를 총 11개 문항으로 조사한다. 이 중 ▲직장의 휴업·폐업 ▲명예·조기퇴직, 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4개 항목을 고른 경우를 '비자발적 퇴직'으로 속한다. 개인·가족적 이유, 육아, 가사, 심신장애, 정년퇴직·연로, 작업여건(시간·보수 등) 불만족 등 6개 항목을 고른 경우는 '자발적 퇴직'으로 분류된다.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69만6000명)부터 2017년(40만6000명)까지 2014년을 제외하면 감소 추세였으나, 최근 들어 2년 연속 늘었다. 2018년은 45만7000명, 2019년 48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비자발적 퇴직자는 2만8000명 줄어들었지만, 그 중 40대와 50대는 3만2000명이 늘었다.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8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1만명 이상 증가했고, 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30만2000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에 다시 30만명대로 올라섰다. 

연령별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 사유는 직장의 휴업과 폐업,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인해 급증했다. 

직장 휴폐업으로 실직한 40대는 전년(1만8000명) 대비 7000명 넘게 늘어난 2만6000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에 최고치였다.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직장을 잃은 40대도 전년(4만9000명)보다 8000명 넘게 늘어난 5만8000명이었다.  

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30만2000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에 다시 30만명대로 올라섰다. 50대에서는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11만7000명→13만명), 명퇴·조기퇴직·정리해고(4만6000명→5만2000명) 사유를 중심으로 비자발적 퇴직자가 급증했다.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일터를 떠난 경우도 전년보다 2000명 가까이 늘어난 9만8000명으로, 전체 50대 비자발적 퇴직자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추경호 의원은 "경제 허리층인 40대와 50대의 고용 상황이 최악인 데도 정부는 어르신 단기 일자리와 같은 세금 일자리 늘리기에만 급급하고 있다"며 "민간 활력을 높이고 경제 체질을 바꾸는 근본 처방 없이 현 정책 기조가 계속되면 고용 상황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