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銀 "2030년까지 글로벌 당기순익 비중 25%까지 끌어올릴 것"
상태바
우리銀 "2030년까지 글로벌 당기순익 비중 25%까지 끌어올릴 것"
  • 정규호 기자
  • 승인 2023.10.25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회' 개최
'베트남·인도네시아·캄보디아' 동남아 3대 법인에 5억 달러 증자
K-방산 '폴란드', 네옴시티 '중동' 통해 글로벌 사업 확대
윤석모 우리은행 글로벌그룹장. 사진=우리은행
윤석모 우리은행 글로벌그룹장. 사진=우리은행

우리은행이 2030년까지 해외 사업 당기순익 비중을 25%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이미 진출해 있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를 동남아 3대 법인으로 묶고, 5억 달러 증자 계획도 밝혔다.

우리은행은 25일 서울 중구 본점에서 '아시아 넘버원 글로벌 금융사 도약을 위한 선택과 집중-세컨드 홈'이라는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윤석모 우리은행 글로벌그룹장이 발표자로 나섰다.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중 가장 광범위한 해외 사업을 벌이고 있다. 1968년 시중은행 최초로 동경지점에 해외 첫 지점을 개설한 후 현재까지 24개국 466개(9월말 기준) 글로벌 영업망을 구축했다.

우리은행 글로벌 부문 2022년 말 총자산은 348억 달러, 당기순이익 3억4000만달러를 시현했다. 최근 3년간 연평균 총자산 9%, 당기순이익 2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글로벌 전체 순이익 중 3대 동남아 법인 비중도 2019년 35%에서 2022년 43%까지 끌어올렸다. 우리은행이 동남아를 '세컨드홈'으로 삼아 2030년까지 은행 전체 손익 중 글로벌 비중을 25%로 설정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우리은행 글로벌 성장전략 핵심은 ‘자체 성장+M&A’다. 진출 국가 현황에 맞게 자체적 성장전략을 추구하거나 진출 후 현지 금융회사를 합병하는 방식이다.

조 부문장은 “1단계로 소규모법인 인수 등 소액투자 시장에 신규 진출하고, 2단계는 현지시장에 대한 이해와 경험 축적 및 M&A 등을 통해 성장 발판 구축할 것이다. 3단계가 현지 리딩뱅크 대열에 진입하는 것”이라며 “법적 규제나 금융환경이 국내와 완전히 상이한 해외시장에서는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적으로 선행한 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동남아 3대 법인의 성장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2024년 상반기 중 이들 법인에 대한 증자를 추진한다. 베트남 2억 달러, 인도네시아 2억 달러, 캄보디아 1억 달러다. 이 같은 투자를 통해 인도네시아는 ‘현지 톱10 은행’, 베트남은 '외국계 리딩뱅크 도약', 캄보디아는 ‘현지 톱5 은행’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우리은행은 해외 사업 차기 거점으로 K-방산의 전진기지인 ‘폴란드’와 네옴시티의 ‘중동’을 꼽았다.

우리은행은 폴란드 카토비체에 2017년 1월 사무소를 개설했다. 이 지역에 현대차, 기아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이 다수 포진해 있고, 상업 중심지라는 지리적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한국과 폴란드 간 최대 30조원으로 추산되는 무기 수출 계약이 체결되면서 폴란드에서의 금융 확대도 기대된다.

우리은행은 바레인과 두바이를 거점으로 중동지역에 진출해 있다. 직원 수는 각각 12명과 19명이다.

윤 그룹장은 “바레인 지점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인접해 네옴시티와 직접 관련된 대규모 신디케이론 등 인프라금융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두바이는 한국계 기업 진출이 활발한 만큼 전통적인 기업금융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조 부문장은 세계 경제 시장의 폭탄으로 언급되고 있는 중국의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중국의 부동산 위기에 대해 “우리은행은 중국 부동산 개발 관련 여신이 한 건도 없다”며 “97% 이상이 담보를 가지고 있어 충분히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리스크에 대해서는 “전쟁 이후 러시아 법인의 여신 규모를 3분의 1 수준으로 줄여놨다”며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토크에 각각 법인과 지점, 사무소가 있지만 송금과 같은 최소 서비스 업무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그룹장은 해외 직원의 업무 순환과 관련해서도 “해외에서 해당 지역의 업무 일관성이 중요하고 한 사람이 한 곳에 오래 머물러 있어야 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며 “건전성 측면에서 (지금까지) 잘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