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인 씨앗 3억원으로 자산 50조된 BNK경남... 창립 53주년
상태바
상공인 씨앗 3억원으로 자산 50조된 BNK경남... 창립 53주년
  • 정규호 기자
  • 승인 2023.05.23 1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산 2002년 10조→2012년 30조→2022년 49.8조' 성장
울산시, 경남도 금고유치 가파른 성장세... IMF로 위기
우리금융-BNK금융 편입 '기회로'... 尹정부 출범후 부산銀과 통합 추진

경남지역 상공인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은 3억원으로 탄생한 BNK경남은행이 지난 22일 창립 53주년을 맞았다. 

1970년 5월 22일 탄생한 경남은행의 모습. 사진=BNK경남은행
1970년 5월22일 탄생한 경남은행의 모습. 사진=BNK경남은행

1970년부터 수차례 주인이 바뀌는 고초를 겪으면서도 경남은행이란 이름을 지키며 살아남았고, 오늘날에는 자산 50조원의 은행이자 경상남도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경남은행 창립기념일을 맞아 52년간의 역사를 되짚어봤다.

‘국가재건’, ‘국토균형발전’, ‘상·공업인’은 경남은행의 존재 이유의 3대 키워드다.

정부는 한국전쟁이후 국가재건에 사활을 걸고 국토균형 발전을 위해 경남대표 은행 설립을 추진했다. 이때 마산상공회의소가 주축이된 경남 상공인들은 17번의 치열한 찬반토론끝에 자본금 3억원을 투자키로 결정하고 경남은행 설립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 이후 1970년 5월22일 마침내 경남은행이 태어났다.

경남은행은 탄생과 동시에 외국환업무, 울산시금고, 경남도금고를 유치하면서 은행의 기틀을 마련했다. 1982년 9월에는 증권업에도 진출하며 본격적인 종합금융그룹의 태동을 알렸다. 1983년 5월엔 신탁업무 취급, 1985년 6월 뉴욕사무소까지 개소했다. 이어 1988년 11월엔 총수신 1조원을 달성, 1992년 5월엔 석전동 본점시대를 개막하고 울산영업본부 설치 등 영업망을 급속도로 확산시켰다.

이처럼 26년간 승승장구하던 경남은행에 첫번째 위기가 찾아왔다. 바로 IMF외환위기였다. 대한민국의 모든 경제산업을 강타하고 은행도 피할 수 없었다. 자본의 근원이었던 수많은 경남 상공인들이 공장문을 닫았고 경남은행 자산건정성 역시 급락했다. 급기야 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 이하로 내려갔고 2000년 12월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됐다. 이에따라 임직원 감원 등 각종 긴축경영을 추진했지만 IMF라는 시대흐름을 거스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위기는 깊어졌다. 결국 독자생존이 불가한 식물은행 수준까지 치닫았다. 다행히 지역경제를 정부가 직접 수혈에 나섰다. 예금보험공사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설립한 우리금융그룹에 2001년 3월27일 자회사로 편입된 것이다.

위기뒤엔 기회가 찾아온다는 속설은 사실이었을까. IMF후 가속화된 빈부격차와 디지털금융의 흐름을 읽어낸 경남은행은 경은VIP센터(PB센터) 오픈, 전자화폐 업무개시 등을 추진하며 고액자산가와 디지털 금융을 통해 다시한번 큰 성장을 이뤄냈다. 생존 1년6개월만인 2002년 9월30일 총자산 10조원을 달성한 것이다.

2014년 경남은행은 새로운 미래와 맞닥뜨린다. 2014년 5월 금융당국이 우리금융지주를 민영화하면서 경남은행을 BS(부산)금융지주(현 BNK금융그룹)에 편입시키기 위해 분할했다. 당시 경남은행은 비상장이었기에 (주)KNB금융지주라는 지주사를 설립 및 상장을 통해 종속회사로 들어갔다. KNB는 ‘KyongNam Bank’(경남뱅크)의 약자다.

이후 2014년 8월 KNB금융지주와 경남은행은 합병하면서 기존 경남은행 법인은 소멸됐다. 문서상 오늘날의 경남은행 법인으로 재설립됐다. 52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경남은행의 사업자등록일이 2014년 8월1일로 기재돼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재탄생한 경남은행은 2014년 10월10일 BS금융지주 자회사로 편입하고 은행명을 BNK경남은행으로 교체한다. BS금융지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경남은행은 시너지를 효과를 통해 경쟁력을 보다 강화해나갔다. 2016년에는 경남은행과 부산은행이 예금 입출금 및 조회, 통장 이월 및 정리 등의 공동 금융서비스를 실시했다. 이후 디지털금융 시대를 맞이해 지방은행 최초 금융보안원 ISMS(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을 취득하고, 당시 미래채널시스템이라고 불린 ‘신인터넷뱅킹’과 ‘신스마트뱅킹’을 오픈하면서 오늘날까지 승승장구한다.

두번째 위기는 지금이다. 윤석열정부가 5대 시중은행의 과점을 깨기 위해 계열사간 IT시스템 공동사용 검토에 들어가자 자연스럽게 지방금융지주의 원 뱅크가 화두로 떠올랐다. 투뱅크 체재를 갖춘 금융지주는 여러 곳이지만 규모로 볼때 경남은행과 부산은행을 보유한 BNK금융그룹이 사실상 타깃이다.

금융당국은 올해 3월 ‘은행권 경영·영업·관행 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 1차 회의를 열고 시중은행의 과점체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우선 '전산통합' 추진을 언급했다. 전산통합은 '투 뱅크' 체제의 전단계다. 지방은행중 1, 3위 규모인 부산·경남은행이 통합하면 초대형 지방은행이 탄생한다. 영업망·IT사업망에 대한 중복투자를 줄이는 잇점도 있다. 시중은행의 대항마가 될 수 있다. 문제는 고객정보 공유시 현행법 위반과 경남은행 독립경영 약속 위배다.

금융지주회사법 제48조 제4항에 따르면 ‘전산시스템·정보통신망·전산자료 저장장비·전자적 장치’는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실질적으로 공동사용하는 것은 위법이자 불가능에 가깝다. 경남은행 내부 반발도 상당하다. 올 1월 BNK금융지주 회장 후보 선임 당시에도 BNK경남은행 노조는 각 후보들에게 BNK경남은행 독립경영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

지난 22일 BNK경남은행 본점 창립기념일서 빈대인 회장은 “함께 힘을 모아 용기 있게 도전하고 슬기롭게 추진해 위대한 BNK를 만들어 가자”고 메시지를 전했다. 예경탁 경남은행장은 “지난 1970년 자본금 3억원으로 출발한 BNK경남은행이 총자산 50조원 규모의 지역 대표 은행으로 성장하기까지는 고객과 지역사회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했다"며 "고객중심의 따뜻한 상생금융을 실천해 고객과 지역 사회의 진정한 파트너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