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이 적자... 더 큰 문제는 '고객유입·부실채권' [위기의 저축銀]
상태바
절반이 적자... 더 큰 문제는 '고객유입·부실채권' [위기의 저축銀]
  • 정우교 기자
  • 승인 2023.12.12 16: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분기 누적 적자 1530억... 78개사 중 순이익 증가 고작 '7곳'
조달비용·충당금 적립 여파... 불황에도 거래자 900만 '육박'
NPL 상승, 부실 우려... 신규 부동산PF 시들, 고금리 경쟁 탓

저축은행업계가 불황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고금리가 계속되면서 각 은행은 과거에 비해 많은 조달비용을 쓰고 있고, 대출금리를 올리자니 상생금융을 외면하고 있다는 업계 밖 시선이 차갑다. 또 법정 최고금리(연 20%) 제한과 함께 예·적금 금리 경쟁도 실적 저하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6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저축은행 79곳의 3분기 누적 손실은 153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1조3358억원 흑자에서 1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79곳 중 절반에 가까운 38개가 이익을 내지 못했고, 순익이 늘어난 저축은행은 7개사에 불과했다. 

대형사 5곳(SBI·웰컴·OK·상상인·한국투자)의 순이익은 4620억원에서 2372억원으로 48.7% 줄었다. 이외에도 ▲신한 ▲하나 ▲우리금융 ▲KB ▲다올 ▲대신 ▲키움 등 금융그룹에 속한 저축은행들도 동반부진했다. 소형사의 적자폭은 대형사보다 더 컸다. 

업계가 적자로 돌아선 이유는 수익이 제대로 나지 않는 상황에서 비용만 늘어난 데 있다. 고금리가 계속되면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했고, 대출채권손실도 불어났다. 또한 충당금을 추가 적립하라는 당국의 요청도 부진에 영향을 끼쳤다.

실적 감소 외에도 저축은행업계의 공시 곳곳에서 불황 요인들이 관측되고 있다.

무엇보다 거래자(고객)가 1년 만에 늘어난게 우려스럽다. 고객 증가는 겉으로 보기에는 긍정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저축은행은 저신용자 고객의 연체를 대비하기 위한 충당금을 더 적립하거나 예금이자 등 추가 비용을 지출해야 할 수 있다. 수익 창출 측면에선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셈이다.  

저축은행 79곳의 3분기까지 고객은 총 894만명으로 전 847만명에 비해 5.6% 증가했다. 이 기간 중 OK저축은행은 22만3986명 불어나며 고객 유입이 업계에서 가장 많았다. SBI저축은행도 11만8234명 늘어 170만명을 넘어섰다. 

고객이 1년 만에 900만명에 육박하게 된 배경에 대해선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된다. 업계는 작년부터 고금리를 앞세운 예·적금상품을 너도나도 출시해왔다. 모바일뱅킹을 자체 고도화해 비대면 고객 유입을 노렸고, 한편으론 저축은행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도 개선되면서 고객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1금융권 대출이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문턱이 낮은 저축은행으로 몰린 결과라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나 저축은행 79곳의 총 수신액은 작년 3분기 119조원에서 올해는 118조원으로 줄었다. 여신총액도 이때 116조원에서 108조원으로 줄었다.

저축은행이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자금이 수신에서 여신으로 흘러야 하는데, 이 흐름이 막힌 상태에서 고객만 늘어난 셈이다. 자연히 수익 악화 우려가 나올 수 있다. 

중앙회에 따르면 올 3분기 고정이하여신(NPL,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비율이 낮아진 저축은행은 6개사에 불과했다. 대형사 중에선 OK저축은행이 7.98%에서 7.11%로 유일하게 하락했다. 고정이하여신은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여신을 뜻하며 통상 부실채권으로 분류한다. 

저축은행은 이 비율이 비교적 높다. 하락했더라도 여전히 20%를 웃도는 저축은행도 있었다. 고금리가 계속되고 있고 고객 유입이 계속된다면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면 각 저축은행은 건전성에 대응하는 비용을 추가로 지출해야하기 때문에 부진은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관계자는 악재가 되풀이되면서 현재 불황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저축은행은 은행처럼 수신에서 자금을 끌어와 여신영업을 하는 구조"라면서 "특히 과거 활발했던 부동산PF 대출이 시들해지면서 신규(대출)분이 줄어드는 모습이다. 당연히 영업익이 정체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작년 같은 경우 저축은행도 고금리 경쟁을 펼치며 예·적금 금리를 인상했다. 그만큼 이자비용 출혈이 더해질 수 밖에 없지 않았겠느냐"라며 "여기에 개인금융 부실채권 이슈가 더해졌고 업계가 이른바 '저축은행 사태'를 겪었기 때문에 충당금을 적립하라는 금융당국 목소리는 상대적으로 크다. 수익이 감소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