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깜깜이' 카카오 지도사용료... 네이버 보다 최대 10배 비쌌다
상태바
[단독] '깜깜이' 카카오 지도사용료... 네이버 보다 최대 10배 비쌌다
  • 최종희 ,최유진
  • 승인 2024.03.21 14: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경pick] 카카오·네이버 '기업 지도 수수료' 분석
'지도 1회' 호출에 카카오 0.5~1원, 네이버 0.1원
네이버, 단가표 공개...'실제 호출 횟수'로 과금
카카오, 비공개·개별 협상...'예상 호출수' 기준
배달대행업계 "정보 깜깜이... 부르는대로 줘야"
"카카오 수수료 너무 높아... 마진의 10% 수준"
카카오 "제공하는 지도 기능 차이, 요율 달라"
사진=각사

카카오의 기업 고객 대상 '지도 서비스'(카카오맵) 사용료가, 경쟁사 네이버 대비 최대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위 서비스를 주로 사용하는 배달대행업계는 경기 불황으로 수요가 급감한 상황에서 카카오맵 수수료 부담까지 가중되면서, 이중고를 호소하고 있다. 취재 중 만난 업계 관계자들은 "카카오가 이런 현실을 알고도 불합리한 수수료 개편에 미온적"이라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기도 했다.   

19일 본지는 카카오와 네이버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의 배달업체를 대상으로 수수료 현황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카카오의 경우 지도를 1회 검색(호출) 할 때, 0.5원에서 1원 정도의 수수료가 발생했다. 반면 비슷한 조건에서 네이버 수수료는 0.1원이었다. 두 회사 간 수수료 격차가 많게는 10배, 적게는 5배까지 벌어지는 셈이다. 

두 회사 서비스는 '수수료 부과 체계' 공개 여부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우선 네이버는 홈페이지 내에 단가표를 공개했다. 이 표에 따르면, 배달업체들이 주로 사용하는 지도는 ‘다이내믹 맵’(Dynamic Map)으로 모바일에서 쓸 때는 비용이 부과되지 않는다. 웹 버전도 월간 호출 횟수 기준 1000만건까지는 무료다. 1000만건 초과 시 1건당 0.1원씩 요금을 물리는 방식이다.

사진=카카오맵 캡처 화면.
사진=카카오맵 캡처 화면.

 

'깜깜이' 카카오 수수료... "비공개, 부르는대로 줘야"

네이버와 달리 카카오는, 단가표나 수수료 부과 체계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앞서 카카오는 2016년 말, 1일 30만건까지 '지도 API' 를 무료 사용할 수 있다고 홍보했으나 현재는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지도 API는 카카오, 네이버, T맵 등이 운영하는 지도 서비스와 다양한 분야의 온라인 플랫폼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도 API' 사용량은 실제 맵 서비스 조회 수와 같기 때문에, 수수료 산정의 주요 근거가 된다.

카카오맵을 이용하는 배달대행업체 입장에선 수수료 단가도, 그 산정 체계도 모르는 상황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요구하는 기준에 맞춰 요금을 낼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실제 지도 호출 횟수가 아닌 '예상치'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산정한다는 점도 카카오만의 정책이다. 카카오는 자체 모니터링 결과 일정 사용량을 초과하는 기업에 개별 협상을 요청, 수수료 견적서를 주고 받는다. 이때 기업들이 직접 적어내는 ‘예상 호출 횟수’를 기준으로, 월 단위 정액 요금을 결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만약 실제 이용 횟수가 '예상치'를 초과하면 지도 서비스는 중단될 수도 있다. 배달대행업계 관계자들은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예상 호출 횟수’를 훨씬 높게 잡는다고 증언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배달 주문이 매달 빠르게 늘어나던 코로나 대확산 당시에는, 과거 사용량 통계 대비 서너 배씩 예상치를 올려잡았다”며 “호출 1건당 3원이 넘는 비용을 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배달 한 건 처리 시 마진이 50원 안팎”이라며 “마진의 10% 가까이를 지도 사용료로 떼이다 보니, 배달료 인상을 검토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방효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보통신위원장은 “객관적으로 이해 가능한 표준 정책과 규정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운영해야 한다”며 “기업별 협상능력에 따라 계약 내용이 달라질 여지를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지도API를 공급하는 회사마다 (맵 서비스의) 사용 가능 범위와 기능이 다르다. 즉 요율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서비스 개선 및 제휴사와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 계약사항을 수시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