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펀드, JB금융·다올證, '경영권 분쟁·주주환원' 압박
상태바
행동주의펀드, JB금융·다올證, '경영권 분쟁·주주환원' 압박
  • 유명환 기자
  • 승인 2024.03.14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외이사·비상임이사 선임 요구
지난해 이어 삼성물산·태광산업 타깃
"일반투자자 앞세워 차익 실현 수단"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올해 정기 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행동주의편드가 JB금융지주와 삼성물산, 금호석유화학, 다올투자증권 등 대상으로 경영권 분쟁과 주주환원 압박 카드를 꺼내들고 있다. 특히, 행동주의펀드는 ‘표심’을 잡기 위해 일반투자자들 상대로 위임장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업계는 행동주의펀드의 주주환원 정책 등이 단기 차익을 노리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경영권 분쟁 이슈로 주가가 급등하는 등 변동성이 커질 경우 결과적으로 주주들에게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고 조언했다.

13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JB금융과 삼성물산, 금호석유화학, 다올투자증권, KT&G 등의 올해 정기주주총회에서는 행동주의 펀드 등의 주주제안을 기반으로 표 대결이 펼쳐질 예정이다.

행동주의펀드로 알려진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은 JB금융지주에 이사회 이사 후보 5명 추천과 함께 이사 증원 안건을 제안했다.

JB금융지주는 정기 주주총회 안건으로 얼라인파트너스가 제안안 사외이사 및 비상임이사 증원, 주주제안 이사 후보 선임 여부 등을 올렸다. 해당 안건들은 오는 28일 주총에서 투표를 통해 의결될 예정이다.

얼라인파트너스는 JB금융지주 지분 14.04%를 보유한 2대 주주로, 최대주주인 삼양사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14.61%)과의 격차도 0.57% 수준이다. 이번 주총에도 얼라인파트너스의 안건이 상정되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표 대결이 이어질 전망이다.

다올투자증권은 2대주주인 김기수 프레스토투자자문 대표는 지난달 27일 주주행동주의 플랫폼 '비사이드코리아' 통해 전자위임을 촉구했다. 김 대표는 오는 15일 정기 주총을 앞두고 신규 사외이사에 강형구 한양대학교 교수를 주주제안으로 추천했다.

김 대표는 사외이사 추천 외에도 권고적 주주제안 신설, 차등적 현금배당, 임원퇴직금 지급규정 변경 등을 제안한 상태다. 다올투자증권은 해당 안건들에 대한 법률적 판단이 필요하지만, 주주제안이라는 취지를 존중해 안건으로 상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김 대표는 “다올투자증권의 2대주주로서 주주가치 제고와 책임 경영을 위해 회사 정상화 전까지 최대주주와 함께 배당을 받지 않겠다”며 “경영 위기가 지속됨에 따라 2대주주로서 회사 측에 주주제안서를 발송했다”고 밝힌 바 있다.

차파트너스자산운용는 지난달 금호석유화학에 주주제안를 통해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자기주식 소각 관련 정관 변경, 자기주식 소각의 건 등 3가지를 제시했다.

특히 차파트너스는 금호석화가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 524만8834주를 2025년 12월 말까지 전량 소각을 제안했다. 현재 금호석화의 미소각 자사주는 18.4%에 달한다.

차파트너스는자산운용은 박철완 금호석유화학 전 상무와 손 잡은 행동주의 펀드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의 조카인 박 전 상무는 금호석유화학 지분 9.1%를 보유한 개인 최대주주다. 차파트너스는 금호석유화학 지분 0.03%를 확보하고, 박 전 상무로부터 권리를 위임받아 주주제안을 제안했다.

삼성물산, 태광산업 등도 지난해에 이어 행동주의 펀드의 주주제안 타깃이 됐다. 영국계 자산운용사인 시티오브런던 등 5개의 행동주의펀드 연합은 삼성물산에 5000억원 자사주 매입, 보통주 4500원, 우선주 4550원씩의 배당을 요구하는 주주제안을 했고, 트러스톤자산운용은 태광산업에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을 요구했다.

업계는 행동주의펀드가 주주환원 요구라는 이면에는 단기 차익성과와 더불어 기업 이미지를 갈아먹는 행위로 보고 있다.

실제 시티오브런던 등이 삼성물산에 요구한 현금배당 등 주주환원 규모는 삼성물산의 잉여현금흐름의 100%가 넘는 수준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국내외 행동주의펀드가 기업 경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안을 제시하고 있다”라면서 “이를 통해 주가가 급등하면 차익을 실현하고 나서는 사례가 있었고 이사회 진입 등 적극적으로 경영에 참여하려는 시도가 많지만 전문성 등에 의문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