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연내 매각, 물건너 갔다
상태바
우리은행 연내 매각, 물건너 갔다
  • 김흥수 기자
  • 승인 2017.11.12 1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각 지연될수록 가치하락 이어져 빠른 시일내에 추진돼야
지난 2일 채용비리 사건의 책임을 지고 전격사임한 이광구 전 우리은행장

우리은행의 잔여지분 매각이 내년으로 미뤄졌다. 12일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18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이하 예보채권기금)에 우리은행 주식 4천732만주 매각 대금을 수입으로 잡혀있다. 우리은행 지분의 7%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우리은행 주식과 함께 한화생명 5천374만 주(지분율 6.2%), 서울보증보험 175만 주(지분율 5%) 등도 매각목표로 제시했다.

우리은행 지분 매각 대금(최근 2년 주가 적용) 5천억 원을 비롯해 1조 원어치 지분을 팔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예보채권기금 예보에 설치된 기금으로 우리은행에 투입된 공적자금과 지분회수 등을 관리한다.

정부가 예보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우리은행 지분은 18.5%이며 올해 잔여지분 매각이 추진됐지만 사실상 물 건너 간 상황이 됐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우리은행과 협의해 지분을 매각해왔으나 채용비리로 인해 이광구 행장 사임, 검찰의 압수수색 등의 돌발사태가 발생해 지분매각이 어려워졌다.

공자위 공동위원장인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우리은행 매각을 최대한 빨리 결론내겠다고 약속했지만 지키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돌발 사태 탓에 지키지 못한 셈이다.

문제는 매각이 늦어질수록 우리은행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시중은행의 한 고위임원은 “우리은행을 비롯 KB국민은행과 KEB하나은행 등은 향후 5년 내로 대규모의 구조조정을 거치지 않으면 경영상 큰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핀테크의 발전은 인력수요를 감축시킬 수 밖에 없는데 우리은행 등의 현 구조로는 감축된 인력수요를 감당해내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주인이 없는 은행’이기 때문에 책임지고 구조조정을 단행할 ‘전주(錢主)’가 나서지 않으면 경영상 위기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우리은행 인수에 관심이 있는 전주들은 그만한 계산들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매각이 늦어질수록 우리은행의 가치하락이 수반될 수 밖에 없다.

실제 국회에서 채용비리 사건이 터진 지난달 17일부터 보름 만에 12%이상 주가가 빠졌고, 지난 2일 이광구 행장이 전격 사임의사를 밝힌 이후로는 7%이상 급락했다.

공자위는 예산안 반영 때문에 일단 7%라는 목표치를 설정했지만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매각수위를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선 급한 후임행장 인선에서부터 잡음들이 나오고 있어 우리은행 매각이 험난한 길을 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