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1600兆... 금융위 "연체율 상승 9월 말 고비"
상태바
가계대출 1600兆... 금융위 "연체율 상승 9월 말 고비"
  • 문혜원 기자
  • 승인 2023.05.26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 '가계대출 동향 및 건전성 점검회의'
"금융권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 제한적" 진단
코로나 상환유예 종료되는 9월말 고비 예상
하반기 불황 우려... 기업대출 모니터링 강화 필요
김주현 금융위원장. 사진=연합뉴스
김주현 금융위원장.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최근 늘고 있는 연체율이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다만 오는 9월말 코로나 상환유예가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연체율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25일 ‘가계대출 동향 및 건전성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의 가계대출 및 건전성 현황과 잠재 리스크 요인을 점검했다.

앞서 금융위원회가 지난 11일 발표한 4월 금융권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작년 9월이후 감소세를 보였던 가계대출 규모는 이 기간 1598조8000억원으로 전달보다 2000억원 증가했다.

이처럼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전환한 것은 무주택자 등 실수요자 위주의 주택거래가 늘면서 특례보금자리론 등 은행권의 정책모기지 취급이 3월 이후 4조7000억원 확대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책모기지를 제외한 은행권 여타 대출(집단·전세·신용)과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4월에도 감소했다.

금감원은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일부시각이 있지만 현재 가계대출 수급 여건에 비춰볼때 증가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출금리가 과거 대출 급증기에 비해 여전히 높은데다 주된 대출 수요인 주택거래도 전반적으로 예년보다 적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금융권의 연체율도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안전성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라고 봤다. 실제로 은행의 연체율은 3월말기준 0.33%로 코로나 발생직전인 2019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카드(1.53%), 캐피탈(1.79%)은 2019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다.

특히 연체율 상승폭이 큰 저축은행(5.07%)과 상호금융(2.42%)은 2016년과 2014년 수준으로 회귀했지만 그 이전 최고치보다는 크게 낮은 상황이다. 과거 저축은행사태 당시 연체율은 2013년말 21.70%, 상호금융은 2012년 3.86%로 급등한 바 있다.

저축은행의 3월말 대손충당금적립률은 229.9%로 2019년 112.1%에서 크게 상승했다. 같은기간 저축은행의 BIS비율은 13.59%로 2008년 6월말 금융위기(9.08%)에서 크게 개선됐다.

이에따라 금감원은 저축은행들의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와 충당금 적립 확대, 자본 확충 등을 고려할때 시스템적 리스크로 확대될 상황은 아니라고 봤다. 

하지만 금감원은 오는 9월말부터 코로나 대책으로 상환이 유예된 여신의 상환이 시작되면 연체율 상승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제한적이란 단서를 달았다. 상환유예 여신의 절대규모가 3월말현재 6조6000억원으로 크지 않고 대부분 은행에서 80%이상이 취급됐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은행권의 상환유예 여신전액이 연체돼도 연체율은 0.57%까지 상승하는데 그칠 것”이라며 “현재보다 0.24%p 오르는 수준이나 과거 10년간의 은행 장기 평균 연체율(0.78%)에 견주면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당분간 차주 신용위험 증가(은행), 수익성·건전성 저하 압박(상호금융·저축은행) 등으로 당분간 대출 공급을 확대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내다봤다. 

금감원은 "가계대출 수요·공급 여건과 시장금리 및 부동산시장 환경 등에 비춰 가계대출 급증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가계대출 규모가 GDP 대비 102.2%로 높은 수준이고 향후 자산시장과 시장금리 향방에 따라 증가세가 빨라질 수 있으므로 경각심을 놓지 않고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업계 관계자들은 하반기에도 전세·신용대출 신규수요 감소, 부동산시장 침체에 따른 집단대출 감소로 가계대출이 전년 수준 유지 또는 소폭 증가할 것이라며 대출 부실 가능성 및 수익성 저하에 대비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 고금리,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이 지속될 것"이라며 "대신 기준금리 인하시점과 부동산·주식시장 회복 여부에 따라 대출수요가 변동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하반기에는 무역환경 변화, 경기침체 우려에 따라 가계대출보다 기업대출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