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채안펀드 한도 '30조원' 상향 검토... 태영건설發 리스크 우려
상태바
정부, 채안펀드 한도 '30조원' 상향 검토... 태영건설發 리스크 우려
  • 전지윤 기자
  • 승인 2024.01.01 1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영건설發 증권·여전사 등 2금융권 리스크 우려
증권·캐피탈·저축은행 등 후순위 투자 많아
금융당국, 채안펀드 한도, 20조원→30조원 방안 검토 中
정부, 시장 불안 차단 조치... "시장 상황 따라 추가 대응"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여파로 인해 부동산 PF 시장이 더욱 얼어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금융권의 자금조달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정부는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한도를 20조원에서 30조원까지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시장 불안에 선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1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달 증권업의 태영건설 관련 직접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2183억원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신용보강(연대보증 개념) 5647억원, 책임준공(준공 의무) 3474억원이 추가 익스포저로 집계됐다. 캐피탈사 같은 경우 직접 익스포저는 없지만 신용보강 3174억원, 책임준공 3522억원이 파악됐다. 

정부와 금융권에서는 각 업권의 자본 규모에 비해 부담 수준은 크지 않다는 입장이지만, 이번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을 계기로 전반적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이 악화되면서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은행이나 보험사는 PF사업에 주로 선순위 투자를 했지만 증권사, 캐피탈사, 저축은행 등은 후순위로 투자한 경우가 많고 지방·상업용 시설 등 고위험 사업장 비중도 높다. 특히 2금융권의 경우 공사 시작 전 사업 초기대출인 '브릿지론' 비율이 커 건전성이 크게 하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전체 PF 대출 중 브릿지론의 비율은 저축은행이 58%로 가장 높았으며 캐피탈사는 39%, 증권사는 33%에 달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브릿지론 단계의 사업장부터 정리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브릿지론에 들어가 있는 일부 캐피탈사, 증권사, 저축은행 등은 부실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2금융권 건전성 저하 우려에 따른 신용 경계감 등으로 단기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부동산 PF의 주요 자금 조달 수단인 PF-ABCP(자산유동화어음), 기업어음(CP), 여전채 등의 차환 리스크가 늘어날 수도 있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의 여파는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의 조달 부담 가중으로도 번질 수 있다. 

한은은 "증권회사와 여전사의 유동성 리스크에 대한 대응 여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이라면서도 "부동산PF 관련 익스포저 건전성이 저하될 경우 증권사는 PF 채무보증 이행에 따른 유동성 수요 확대, 여전사는 신용 스프레드 증가에 따른 여전채 발행 비용 증가로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에 시장 불안을 차단하기 위한 안정 조치를 즉각 가동, 충분한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나섰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거시경제·금융 현안 간담회에서 "시장안정 조치는 레고랜드 사태에 따라 50조원+α 수준으로 가동한 이후 부동산 PF와 건설사 지원 조치가 순차적으로 추가돼 현재 85조원 수준으로 운영 중"이라며 "필요시에는 추가 확대해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가 대표적인 유동성 지원 수단인 '채안펀드 한도 증액 카드'를 꺼내들지에 대해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은 현재 시장 상황에 따라 채안펀드의 최대 운용 규모를 20조원에서 30조원까지 늘리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채안펀드는 은행, 증권 등의 금융권이 공동 출자해 우량 금융채와 회사채에 투자하면서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채권시장 경색으로 자금난을 겪는 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과도한 스프레드를 해소하는 안정판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대책으로 현재 85조원 규모의 시장 안정 대책은 향후 100조원 이상으로 늘어날 수도 있다. 

정부 관계자는 "시장 상황에 따라 여러 추가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