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삼성물산, 정규직 비율 1·2위... 포스코건설, 일자리 창출 1위
상태바
SK에코플랜트·삼성물산, 정규직 비율 1·2위... 포스코건설, 일자리 창출 1위
  • 정규호 기자
  • 승인 2021.09.18 0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노동부 고용형태공시제 분석]
비정규직 SK에코플랜트 16.8%, 삼성물산 24%
직원 증원 가장 많았던 곳은 포스코건설 564명
‘광주참사’ HDC현산, 비정규직 '39.4%' 최하위권
노동부 "해외 시장 축소로 플랜트 인력 감원 중"

국내 건설사 고용 현황 분석 결과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SK에코플랜트'의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적었다. 올해 상위 10대 건설사 가운데 일자리를 가장 많이 창출한 건설사로는 564명을 증원한 ‘포스코건설’이 이름을 올렸다. 반면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은 건설사는 HDC현대산업개발로 확인됐다.

본지는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형태공시 자료를 토대로, 10대 건설사의 정규직(기간이 없는 근로자), 비정규직(기간이 있는 근로자) 근로자 수를 집계했다. 그 결과 10대 건설사 중 SK에코플랜트와 삼성물산(건설부문)의 정규직 비율을 가장 높았다. 

DL이앤씨의 경우 올해 대림산업에서 사업별로 회사가 분리되면서 통계에서 제외됐다. 

그래픽디자인=황유정
그래픽디자인=황유정. 

 

정규직 비율 1위 SK에코플랜트, 2위 삼성물산

SK에코플랜트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비정규직 비율은 16~17%대 였으며, 같은 기간 삼성물산(건설부문) 비정규직 비율은 24~25%대를 기록했다. 두 건설사가 주로 계약직으로 운영하는 ‘플랜트’ 사업도 영위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비정규직 비율은 위 수치보다 훨씬 더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 건설사의 복지는 건설사들 사이에서 최고 수준이다. 삼성물산의 경우 자녀학자금은 물론 사내 대출, 결혼도움방, 취미 복지 예산, 자기계발비 지원, 캐리비안베이 이용권 등 다양한 복지혜택을 부여한다. 명절 상여금, 개인성과금, 목표인센티브, 성과인센티브, 기타인센티브 등의 보상체계도 갖추고 있다.

삼성물산과 SK에코플랜트는 "비정규직 비율 관리를 위해 특별하게 한 활동은 없다"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HDC현산, 19년 이후 3년째 비정규직 비율 1위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9명의 목숨을 앗아간 ‘광주 참사’ 건설사인 ‘HDC현대산업개발’이었다. HDC현산의 올해 비정규직 비율은 39.4%로 집계됐다. SK에코플랜트와 비교할 때 비정규직 비율은 약 2.5배 높았다. 

특히, HDC현산은 10대 건설사 중에서 2019년부터 3년 연속 비정규직 비율 1위를 기록 중이다. 이 회사의 2019년 비정규직 비율은 47.8%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9년 대비 직원 감원 규모는 350여 명이다. HDC현산은 매년 5000억원 대의 영업이익을 기록 중이다. 비정규직 비율과 감원 이유에 대해 수차례 설명을 요청했지만 HDC현산은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br>

 

도급순위 4위 ‘포스코건설’, 일자리 창출은 1위 

10대 건설사 중에서 올해 일자리를 가장 많이 창출한 기업은 ‘포스코건설’이었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포스코건설 근로자는 2019년 5762명, 2020년 6117명, 2021년 6681명으로 최근 3년간 919명을 채용할 정도로 인력이 꾸준히 늘고 있다. 포스코건설 본사가 인천에 소재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지역경제 발전에 큰 힘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포스코건설은 최근 국내 주택 브랜드인 ‘더샵’의 프리미어 리뉴얼 성공, 도급순위 상승, 서울 강남 진출 등 '호재'를 잇따라 만들어내고 있다.  

10대 건설사 중 근로자 감원이 가장 많은 기업은 GS건설이었다. 2020년 대비 2021년 근로자 수는 396명 줄었다. 코로나로 인한 해외 플랜트 시장 위축에 따라 계약직 근로자 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GS건설은 "전직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는 "건설업 특성상 수주 상황에 따라 인력소요가 급변하고, 수주 프로젝트별로 요구되는 기술인력도 상이해 모든 분야의 건설전문 인력을 상시 보유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필요시 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소요인력을 계약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