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기가 고통"... 밥상 물가 상승률 OECD 3위
상태바
"장보기가 고통"... 밥상 물가 상승률 OECD 3위
  • 이준영 기자
  • 승인 2021.08.08 16: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분기 밥상물가 OECD 26→3위, 10년來 최고
농축수산물가, 30년만에 최대 상승
국제 곡물 가격 상승... 하반기도 불안
마트 전경. 사진= 이기륭 기자
마트 전경. 사진= 이기륭 기자

올해 2분기 우리나라 '장바구니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3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6위에서 무려 23계단이나 뛰어오른 것이다. 특히 상승률은 10년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8일 OECD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분기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7.3% 올랐다. 이는 OECD 전체 평균(1.6%)의 4.5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38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18.0%)와 호주(1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작년 2분기 우리나라 식품물가 상승률은 2.5%로 OECD 국가 중 26위(당시 회원국은 37개국)에 그쳤으나 1년 만에 상승률 순위가 23계단이나 뛰어올랐다. 국내 2분기 기준으로 비교해도 올해 상승률은 2011년(7.8%) 이후 1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저물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최근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진 여파로 분석된다.

특히 농축수산물 물가는 2분기에만 11.9% 치솟아 1991년(12.5%) 이후 30년 만의 최대 상승을 기록했다. 최근 통계인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도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9.6%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는 계란이 57.0% 급등해 2017년 7월(64.8%)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로써 계란 가격은 올해 1월(15.2%)부터 7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갔다.

이밖에 사과(60.7%), 배(52.9%), 포도(14.1%), 수박(8.7%) 등 과일과 돼지고기(9.9%), 국산 쇠고기(7.7%), 닭고기(7.5%) 등 고기류, 마늘(45.9%), 고춧가루(34.4%), 부추(12.2%), 미나리(11.7%)를 비롯한 각종 채소류도 가격이 뛰었다.

하반기에도 장바구니 물가는 나아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폭염이 이어지며 잎채소 가격이 급등하는 상황이고, 작황도 부진해 쌀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탓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6일 기준 시금치 소매가격은 1㎏당 평균 2만796원으로 평년(1만1,272원) 대비 84.5% 뛰어올랐다. 청상추는 100g당 1,610원으로 평년보다 20.6% 상승했고, 쌀도 20㎏당 6만1,675원으로 평년 대비 32.2% 뛰었다.

여기에 국제곡물 가격도오르고 있어 불안 요인으로 지목된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Q)에 따르면 곡물·유지류·육류 등 주요 식량 품목의 국제 가격을 지수화한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올해 7월 기준 123.0포인트(2014~2016년 평균 가격=100)를 나타냈다. 특히 곡물가격지수는 올해 5월 132.8까지 급상승하며 2013년 1월 이후 8년 4개월 만의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후 곡물가격지수는 6월 129.4, 7월 125.5포인트로 소폭 하락했으나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30%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국제곡물 가격 상승분이 통상적 4~6개월가량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에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하반기 물가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정부는 7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이후 "폭염·태풍 등 기상 여건 악화,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 추가 상승 등 상방리스크가 상존하고, 코로나 확산세 영향 등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가 상방 압력이 지속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 각별한 경계심을 가지고 안정적 물가 관리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