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아 아닌 신세계百?... 수서역 따낸 한화건설, 계열사 뺀 이유
상태바
갤러리아 아닌 신세계百?... 수서역 따낸 한화건설, 계열사 뺀 이유
  • 신준혁 기자
  • 승인 2021.06.11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兆 수서역세권 개발'... 한화건설 컨소, 입찰 수주
KT에스테이트·신세계백화점 주관사로 참여
갤러리아 "사업다각화 전략, 이번엔 참여 안 해"
공사비 전액 부담, 리스크 해소 위해 경쟁사 맞손
신세계백화점 본점. 사진=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본점. 사진=신세계백화점

한화건설 컨소시엄이 ‘수서역 환승센터 복합개발사업' 사업공모에 단독으로 입찰했다. 한화건설이 컨소시엄을 꾸리면서 그룹 계열사인 갤러리아백화점이 입점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지만, 신세계백화점이 최종 확정됐다. 부채 증가로 고민 중인 갤러리아는 올해 들어 사업재편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채 감소와 사업구조 재편을 위해서는 유동성 확보가 절실하다. 이런 사정을 고려해 갤러리아 대신 신세계와 손을 잡았다는 분석이 흘러나오고 있다. 

10일 국가철도공단에 따르면 '수서역 환승센터 복합개발사업' 주관사 모집에 한화건설 컨소시엄이 단독으로 신청서를 접수했다. 컨소시엄 대표 사업자는 한화건설이며, KT에스테이트와 신세계백화점이 주관사로 참여했다. 유력 후보자로 거론된 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과 신세계백화점 컨소시엄은 입찰을 포기했다.

수서역 환승센터 복합개발사업은 서울 강남구 수서동 197번지 에 위치한 수서역 환승센터를 업무·상업·주거단지로 통합 개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사업부지는 11만5927㎡ 규모이며, 추정 사업비는 1조원에 달한다.

한화건설이 역세권 복합개발사업에 뛰어든 건 서울역, 대전역에 이은 세 번째다. 서울역 북부역세권 복합개발사업에는 한화역사, 한화리조트, 한화에스테이트 등 한화 계열사가 대거 참여했다.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은 하나금융그룹, 계룡건설 등과 손을 잡았다.

백화점 운영은 한화갤러리아가 아닌 신세계백화점이 맡는다. 당초 업계는 한화건설이 컨소시엄을 꾸린다는 소식에 한화갤러리아의 참여를 예상했다. 재계 7위인 한화그룹의 신용도와 한화건설의 시공능력, 한화갤러리아의 경쟁력 등 복합 쇼핑몰 운영에 최적화된 조건을 갖췄기 때문이다. 한화갤러리아는 한화건설이 시공한 천안아산역과 포레나 광교 일대에 갤러리아백화점을 운영하고 있어 기대감을 더욱 키웠다.

한화갤러리아는 확장보다 안정을 선택했다. 한화솔루션이 100% 지분을 보유한 한화갤러리아는 1분기 1213억원의 매출을 거뒀지만, 신세계백화점,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등이 5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격차가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갤러리아의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지난해 마이너스(-)107억원을 기록, 적자 전환했다. 2019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한 130억원,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133억원을 기록했다. 누적 부채는 1조3000억원 수준이다. 

갤러리아는 지난해 유동성 확보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시내면세점과 수원점을 폐점했고, 천안 센터시티를 매각 후 재임차하는 '세일앤리스백' 방식으로 처분했다. 현대백화점 판교점에 이어 2번째로 큰 규모인 광교점은 개점 3개월 만에 매각 수순을 밟았다. 대전에 위치한 타임월드점도 조만간 매물로 내놓을 예정이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역사 시설과 백화점을 함께 운영하는 것은 당사의 사업 모델이 아니다"며 "수서역 개발 사업 초기부터 컨소시엄 참여를 검토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화건설 관계자는 “컨소시엄은 발주처 요청에 따라 최적의 사업자를 구성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사업 구상부터 그룹 계열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두고, 외부 기업과 접촉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서 역세권 개발의 사업성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이 사업은 공사 완공 후 사업자가 시설을 소유‧운영해 투자비를 회수하는 BOT(Built-Operate-Transfer, 건설-운영-양도) 방식이 적용됐다. 사업자의 1조원에 달하는 초기 자금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

최대 30년간 운영권을 보장받아 중장기적 수익을 낼 수 있지만, 이런 조건만으로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더구나 공모 지침이 지나치게 '공공의 목적'을 강조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설계나 시설을 도입하는 데 제약이 있다는 점도 기업들에겐 부담이다. 일부 컨소시엄은 마감 당일까지 입찰을 고려하다 참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 공모사업일수록 컨소시엄을 다양하게 구성해 리스크를 분배한다"며 "그룹 계열사로만 컨소시엄을 구성하면 보증을 서는 금융사를 포함해 구성원들이 연쇄적으로 손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