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노조도 '惡材' 위기감... 총파업 접고 국회 물밑작업
상태바
카드사 노조도 '惡材' 위기감... 총파업 접고 국회 물밑작업
  • 오창균 기자
  • 승인 2019.06.05 1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드 수수료 인하 직격탄... 수익 악화 가시화, 영업점 급감
카드노조, 총파업 보류하고 정치권과 교섭... 가능성은 '글쎄'

카드사들이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뼈를 깎는 고통의 연속이다. 정부의 카드 수수료 인하 강행 여파로 인해 실적은 쪼그라 들었고, 관리비를 줄이기 위해 영업점과 직원수를 줄이는 고난의 행군을 이어가고 있다. 혁신(革新)만 부르짖는 금융당국의 요구를 부담스러워하는 기류가 역력하다.

5일 신한·삼성·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 등 7개 전업 카드사 공시를 살펴보면 1분기 전체 당기순이익은 4,56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0억원(0.7%) 감소했다. 1% 미만인 수치에 굳이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카드사별 실적을 자세히 살펴보면 얘기는 달라진다.

전통적인 수수료 수익에 상당 부분 기대고 있던 중소 카드사들이 휘청인다. 정부의 수수료 인하 이후 자산 규모가 작은 롯데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의 실적 감소가 뚜렷하다.

우리카드의 경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우리카드의 1분기 순이익은 24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393억원과 비교하면 38.9% 감소했다. 롯데카드는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이 35.8% 감소했다. 하나카드의 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28.6% 줄어들었다.

업계 중위권인 KB국민카드는 8.8%가량 순이익이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1분기 실시된 희망퇴직 관련 비용을 감안하면 사실상 순이익이 감소한 것이나 다름없다. 또한 KB국민카드는 실적을 만들어내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감축하고 효율성을 끌어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허리띠를 졸라맨 효과를 어느 정도 본 셈이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는 1년 만에 순이익이 12.1% 줄어들었다. 특히 1분기에만 수수료 수익이 312억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율 증가로 충당금을 더 많이 쌓은 탓도 있으나 가맹점 수수료 인하 영향이 컸다. 신한카드는 1분기에만 수수료 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2,545억원(42%) 감소했다.

카드사 영업점포도 급감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1분기 기준 7개 전업 카드사 영업점포 수는 216개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까지 유지됐던 점포 53개가 불과 몇개월 만에 사라진 것이다. 심지어 카드사 모집인도 4.9% 줄어들었다.

산 넘어 산이다. 그동안 챙겨왔던 대형 가맹점들은 등을 돌린지 오래다. 수수료 인하에 따른 수익 악화를 타개하기 위해선 새로운 먹거리 발굴이 절실하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카드사 요구사항이던 레버리지 비율 규제 완화를 불허한 채 현행 6배를 유지하겠다고 결정했다. 결국 카드사들은 신(新)사업을 시작할 여력이 부족하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가입한 고객에게도 마일리지 혜택을 변경할 수 있다는 약관을 별도로 설명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도 카드사들에게 악재(惡材)로 작용하는 형국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수수료 인하 여파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2분기부터 카드사 실적은 더욱 악화돼 영업점과 인력이 상당폭 축소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카드사의 수익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지만 일부 혁신금융을 제외하면 당국의 규제가 여전하기 때문에 신사업 발굴이 어렵다는 불만이 커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 불어닥친 위기를 강조하며 5월 말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던 카드노조의 목소리도 어느새 실종됐다.

카드노조 측은 이렇다 할 설명 없이 총파업을 보류하고 일부 친여(親與) 성향 국회의원들과 물밑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가맹점 카드 수수료율 하한선을 법령으로 정하기 위해 국회와 교섭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카드노조 측은 레버리지 배율 규제 완화와 관련해서도 금융당국에 새로운 요구안을 제시했다는 후문이다. 레버리지 총자산으로 분류되는 자산에 마케팅이나 영업비용이 아닌 부동산과 같은 비유동성 자산을 영업외자산으로 포함시키자는 얘기다.

하지만 대형가맹점 수수료의 경우 수많은 기업 사이의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레버리지 배율의 경우 금융당국이 요구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