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SNS 단체 채팅' 주의보… 성희롱 논란 잇따라
상태바
대학가 'SNS 단체 채팅' 주의보… 성희롱 논란 잇따라
  • 이기륭 기자
  • 승인 2016.08.03 16: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고대 등 성희롱·여혐 발언 등 파문
▲대학생 카카오톡 단체방 음담패설, 여성 혐오 발언 등으로 대학가 SNS 성희롱 논란 반복되면서 재발방지를 위한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시장경제신문

대학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성희롱 논란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카카오톡의 1대 1, 다자간 대화 등은 편리성이 강조됐다.

하지만 카톡 단체방 등에서 대학생들의 음담패설, 비하 발언, 욕설 등이 난무하고 선·후배, 동기 등을 대상으로 한 낯 뜨거운 대화를 나누면서 삐뚤어진 윤리의식에 대한 문제점이 심화되는 분위기다.

3일 대학가에 따르면 지난달 초 서울대 인문대 남학생 8명이 작년 2~8월 카톡 단체 대화방에서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벌인 성희롱 발언 등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됐다.

이들은 여학생들의 사진을 올려놓고 얼굴 등을 평가하거나 비하, 여성혐오 발언을 일삼았고 서울대 총학생회 산하 학생·소수자인권위원회에서는 '카톡방 성폭력 고발' 대자보를 통해 학내에 알리면서 징계를 촉구했다.

앞서 2014년 8월 국민대 국사학과 소모임 학생 6명이 카톡방에서 벌인 여자 후배들 대상 성희롱 발언이 뒤늦게 드러나면서 지난해 2월 공론화됐고 대학 측은 사과문을 발표, 성희롱 방지 교육 및 징계위원회를 구성했다.

이후 국민대는 지난해 4월께 문제를 일으킨 학생 중 2명은 무기정학을, 4명은 근신 처분을 내렸다.

대학생 SNS 성희롱은 올해 6월 또다시 논란이 됐다. 고려대 남학생 8명이 지난 1년간 부적절한 대화를 카톡방에서 나눴다는 사실이 학내 게시판 대자보를 통해 공개되면서 파문이 일었다.

이들은 카톡방에서 성관계를 의미하는 발언과 몰래 촬영한 여성 사진을 공유, 실명을 언급하며 성희롱한 내용 등이 알려졌고 고려대 측은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현재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아직 징계 등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경희대 국제캠퍼스의 한 동아리 카톡방에서 남학생 12명이 여학생을 성희롱하는 대화를 나눠 징계를 받은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지난해 10월 피해자가 대학 측에 신고 후 가해자들이 1~3개월 정학 등의 처분을 받았는데, 관련 내용을 '외부에 발설하지 않는다'는 비밀유지 서약을 피해자들이 지키지 않았다는 익명 대자보가 공개되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경희대 관계자는 "징계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시 문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톡 등 SNS 대화의 경우 단순 대화라고 착각할 수 있지만, 기록이 남겨지기 때문에 증거가 된다.

채팅 등을 통해 음담패설을 할 경우 피해자 고발 여부에 따라 '통신매체를 이용한 음란 행위'로 처벌받을 수 있으며, 피해자가 단톡방에 없다면 명예훼손, 모욕죄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반면 학생들은 특정인 대상 음담패설 등 대화가 '범죄'라는 사실과 형사처벌 대상이라는 점을 인지하지 못하는, 윤리의식 부재로 인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모습이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가해자보다 피해자 입장을 중시하는 분위기 속에서, 비하글을 피해자가 보게 되면 심각한 상황을 맞게 된다. 구체적인 사례에 따라 관련 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피해자가 해당 내용을 보고 수치심, 강한 거부감, 모멸감 등으로 당연히 고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체 징계만으로 논란이 지속될 수 있다는 부분에서 결국 대학가에서는 SNS 성희롱 등이 재발하지 않도록 학생들이 올바른 의식을 갖추는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공정식 안전문화포럼 회장은 "다른 SNS보다 카톡의 경우 신속하게 전달되는 성향이 있다. 자극적인 부분에 스릴을 느끼고 개인 공간이라는 인식과 막말 형태를 쉽게 수용하다보니깐, 기본적으로 SNS는 개인 공간보다 전체 공간이라는 관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 발언은 당사자에게는 엄청난 충격을 주는 것에 대학에서도 교육이 필요하다. SNS가 독약이 될 수 있으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보완장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심각한 상황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