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 '자영업자 대출' 늘었다... 부실 리스크 '고개'
상태바
제2금융권 '자영업자 대출' 늘었다... 부실 리스크 '고개'
  • 문혜원 기자
  • 승인 2022.04.10 1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올해 1월 기업대출 총액 361조7000억”
대형 저축은행 중심 확대...유예에 따른 취약도↑
"금리상승기 동안 이자조차 내지 못한 자영업자 위험상승도 높아"
저축은행 중심으로 자영업자 대출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다. 사진=시장경제DB
저축은행 중심으로 자영업자 대출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다. 사진=시장경제DB

최근 들어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에서 기업대출 자산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부채의 질이 갈수록 악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부실 리스크 우려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자영업자 대출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완화되면서 자영업 업황 개선이 지연된 데다, 금융사들의 자영업자에 대한 대출 심사를 생략하는 등 신용 평가 문턱을 낮췄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비은행금융기관(저축은행·상호금융)의 자영업자 대출 현황을 보면, 기업대출이 전체 가계대출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올해 1월 기업대출 총액은 361조7000억원으로 2년 전이었던 2020년 1월보다 70% 넘게 늘었다.

반면, 가계대출 총액은 349조1639억원으로, 지난해 12월 349조9691억원을 정점으로 감소로 전환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자영업자 대출 증가추이'자료 사진=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자영업자 대출 증가추이'자료 사진=한국은행 제공

구체적으로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2월 사이 제2금융권 대출잔액 증가율(25.8%)은 시중은행(9.3%)보다 많았다. 2020년 2분기부터 자영업자대출의 신규 차주 비중이 30%에 육박하기 시작했다. 신규 차주는 전년 동기 기준 개인사업자대출 잔액이 없는 대출자를 말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자영업자 대출잔액은 887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 증가했다. 소상공인 1인당 평균 3억3000만원의 대출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중 개인사업자 대출은 2억2000만원, 가계대출은 1억1000만원으로 구성됐다.

자영업자 대출을 보유한 차주 수도 2019년 209만5000명에서 지난해 11월 277만명으로 24.4%나 증가했다. 여기에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기업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는 같은 기간 12만9000명에서 27만2000명으로 52.6%, 다중채무자의 대출금은 101조원에서 157조원으로 35.7%나 폭증했다. 

특히 자산 규모가 큰 대형 저축은행 중심으로 자영업자 대출 수요가 늘었다. 상위 5개 저축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18조3420억원으로 전년 말 12조8192억원에서 43%가 증가했다.

저축은행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5조1678억원으로 전년 4조3051억원에 비해 약 20% 늘었다.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6조1640억원으로 개인금융 비중 54.4%, 기업금융 비중 45.6%였다.

저축은행은 코로나 확산 이후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영업을 확대해 왔다. 기업대출이 크게 증가하고 대출금리도 동시에 상승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빚을 내 운영 자금을 댔던 자영업자들의 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 대출이 시중은행 대비 지원 규모는 적지만 다른 업권보다 상환유예에 따른 취약도가 높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원금과 이자에 대한 상환유예의 경우 만기 연장과 달리 유예기간이 길어질수록 미상환 원리금이 누적된다. 차주가 상환 능력이 있다면 가급적 상환을 하거나 만기 연장을 선택할 유인이 큰 만큼 부실가능성 측면에서 만기연장보다는 원리금 상환 유예가 잠재부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대출금리가 높아 경기가 둔화되거나 금리상승기 동안 이자 조차도 내지 못 하는 자영업자 대출이 누적되고 있어 부실위험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지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금융기관의 신규취급 기업대출 가중평균금리 추이’를 보면, 시중은행의 1월 신규취급 기업대출 금리는 지난해 1월(2.69%) 대비 0.61%포인트 오른 3.30%를 기록했으나, 저축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6.07%에서 6.75%로 0.68%포인트 상승했다.

앞서 지난달 30일 한국신용평가는 '만기연장·상환유예 재연장에 따른 은행, 저축은행, 캐피탈의 실질 자산건전성 영향 분석' 보고서를 내고 코로나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관련 제2금융권의 부실 위험이 상승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신용평가는 보고서에서 “연장조치 종료 시점에서 연장대출에 대한 전액 회수가 이뤄진다고 가정 하에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은 시중은행이 1.3%, 지방은행이 2.7%까지 상승한다”고 파악했다.  

이 수치는 코로나 이전보다 악화된 수준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중소기업 부실채권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0.57%다.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9년 12월 0.89%에서 2020년 3월 0.93%로 치솟았다가 코로나 금융지원이 시행된 이후 계속 하락해왔다. 하지만 이는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만기·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연장돼 가려졌기 때문이란 것이 금융권의 분석이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는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2020년 4월부터 '대출 원금상환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가이드라인'을 시행 중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받고 있는 대출은 133조4000억원(70만4000건)에 이른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지난 달 종료 예정이었던 코로나 금융지원 조치를 올해 9월까지 6개월 더 연장한다고 지난달 23일 최종 발표하기도 했다. 2020년 4월 시행된 조치가 총 4차례 연장되면서 올해 9월까지 2년 6개월 동안 이어질 예정이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