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시대... 색조화장품에도 봄날 온다
상태바
위드 코로나 시대... 색조화장품에도 봄날 온다
  • 최지흥 기자
  • 승인 2021.11.11 22: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레페리, 위드 코로나 선언 후 색조 광고 수요 증가
공표 2주 새 색조 브랜드 마케팅 수요 1.6배 상승
정부의 위드 코로나 선언 후 색조화장품 시장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뷰티 인플루언서 비즈니스 그룹 레페리가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에 대한 정부 발표 이후 색조 브랜드 제품에 대한 광고 수요가 2주 새 약 5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사진=1.에뛰드 2.롬앤
정부의 위드 코로나 선언 후 색조화장품 시장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뷰티 인플루언서 비즈니스 그룹 레페리가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에 대한 정부 발표 이후 색조 브랜드 제품에 대한 광고 수요가 2주 새 약 5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사진=1.에뛰드 2.롬앤

정부의 위드 코로나 선언 후 색조화장품 시장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뷰티 인플루언서 비즈니스 그룹 레페리가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에 대한 정부 발표 이후 색조 브랜드 제품에 대한 광고 수요가 2주 사이에 약 58% 증가했다고 11일 발표했다. 

레페리는 장기화된 코로나로 침체됐던 색조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정부가 위드 코로나를 공표한 지난 25일 이후 자사 마케팅 비즈니스에 인입된 광고문의와 실제 집행 건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위드 코로나 발표 이후인 10월 25일부터 11월 7일까지(14일) 2주간 집계된 데이터 중 색조 브랜드 제품의 마케팅 수요는 발표 전(10월 11일~24일) 동기간 대비 약1.6배,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강세를 보여 온 스킨케어 브랜드 제품에 대한 동기간 마케팅 수요 보다 약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위드 코로나 시행에 따른 색조 시장 부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수요가 확대된 주요 색조 품목은 아이섀도우와 립스틱이다. 특히 두 품목은 최근 유명 뷰티 인플루언서와 협업한 제품들이 출시 후 연이어 완판 사례를 보이며 얼어 있던 메이크업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는 설명이다.

대표적으로는 지난달 29일 공개된 메이크업 아티스트 레오제이와 에뛰드의 ‘플레이 컬러 아이즈 까사 무화과’는 론칭 프로모션으로 진행된 네이버 쇼핑 라이브에서 6분만에 전량 매진됐다.

또한 지난 1일 공개된 뷰티 크리에이터 민스코와 롬앤이 협업해 개발한 ‘롬앤 블러 퍼지 틴트’는 출시 당일 온라인몰에서 품절 사태가 벌어짐은 물론, 출시 4일만에 2만개 판매를 돌파하며 단기간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11월 1일, 올리브영 온라인 및 오프라인 1,100여 곳과 롬앤 공식몰에서 동시 론칭 후, 사흘만에 2만개가 판매된 것이다. 이와 함께 이 제품은 일본, 중국, 동남아 등에는 벌써 10만개 이상의 선주문이 완료 됨에 따라 연내 해외 소비자들에게도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장기화된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은 색조 브랜드 역시 인플루언서의 팬덤으로 돌파구를 찾았다. 색조 화장품은 스킨케어 제품보다 인플루언서와 영상 콘텐츠의 영향을 크게 받는 품목으로, 시장 악화로 축소된 마케팅 예산을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집중하며 고무적인 성과를 달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6월, 뷰티 크리에이터 ‘민스코’가 추천 영상을 올린 ‘포렌코즈’의 타투 끌레르 벨벳 틴트는 유튜브 콘텐츠 업로드 후 27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국내 최대 드럭스토어에서 립 메이크업 카테고리 1위에 올랐다.

또한 지난 10월에는 인기 메이크업 아티스트 ‘아랑’이 진행한 웨이크메이크의 ‘믹스 블러링 아이팔레트’ 브랜드 영상은 게재 후 2만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올리브영 메이크업 카테고리 2위에 오르는 성과를 얻었다.

이와 관련 레페리 최인석 대표는 “코로나로 화장품 시장에서 메이크업 소비 침체가 장기간 지속된 가운데 올해 하반기부터는 마스크를 벗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국내는 물론 해외에 번지며 색조 시장이 되살아나는 모습을 보인다”며 “색조 화장품은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내년 상반기부터는 색조 시장이 다시 호황기를 맞으며 실적 역시 기저효과에 따라 점프업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