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화재 예방 사업 '들불'됐다
상태바
전통시장 화재 예방 사업 '들불'됐다
  • 박진형 기자
  • 승인 2017.06.16 1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3월 화재로 전소된 소래포구 어시장이 복구되고 있는 모습. (기사 내용과는 무관하다) 사진=시장경제신문

전통시장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활발하다. 지난 1월 15일 여수 수산시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120개 점포 중 116개 점포가 전소되는 피해를 입었다. 작년 11월 30일 대구의 대표적인 재래시장인 서문시장에서도 대형화재가 발생해 839개 점포 전체가 연소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잇따라 대형사고가 터지자 화재에 취약한 전통시장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 서울, 화재 미리 알려주는 CCTV 설치

서울 영등포구는 화재에 취약한 영등포 전통시장에 폐쇄회로텔레비전(CCTV)형 불꽃감지기 4대를 시범 설치했다고 15일 밝혔다.

만약 화재가 발생하면 불꽃감지기가 감지해 점포주와 상인회장 휴대전화로 통보한다. 소방서에서도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장을 확인할 수 있다.

영등포구는 또한 1점포 1소화기 사업을 통해 사러가시장·영등포전통시장·대신시장 등 18개 전통시장 내 점포에 3.3㎏ 소화기 설치를 완료했다. 시장별 주요지점에는 20㎏ 대형 소화기도 비치했다. 현재까지 23개 전통시장 3800여 점포에 소화기가 1대씩 비치됐다.

앞서 관할 소방서는 전통시장·상점가 상인회를 대상으로 소화기 사용법 등 화재예방교육도 실시했다. 영등포동에 인접해있는 7개 시장을 대상으로 소방차 길 터주기 훈련을 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

◇ 경기도, 전통시장 화재 예방 ‘소방시설 점검’

경기도 이천소방서는 ‘맞춤형 전통시장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천소방서는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소방시설 작동상태와 관리실태 점검, 피난·방화 유지관리, 방화천막 사용 홍보 및 지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소방안전교육 이수와 관계자 관심도, 소방차량 진입로 및 피난시설, 화재하중 등도 확인할 방침이다.

신고시간 지연으로 피해확산을 방지하고자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자율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권장할 예정이다. 특히 상인회 중심의 전통시장 자율소방대를 구성·운영하고 시장여건에 맞게 찾아가는 화재예방교육·훈련을 전개해 소화기 사용법 및 초기 행동요령을 익히게 할 계획이다.

화재 발생 시에 곧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보이는 소화기’ 또는 ‘말하는 소화기’ 등을 보급하고 취약시간에 방화 순찰 강화, 불시 소방차량 출동훈련을 통한 소방통로 확보 등도 구상하고 있다.

◇ 충북, 전통시장 화재안전등급 분류

충청북도 영동소방서는 전통시장 화재로 인한 국민적 불안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전통시장 일제 안전점검 및 화재안전등급 분류'에 나선다.

안전점검과 등급분류를 위한 중점사항으로는 △소방시설 작동상태 및 관리실태 △피난 방화시설 유지관리 및 방화천막 사용유무 △소방차량 진입로 및 피난시설 △소방안전교육 이수 사항 및 관계인 관심도 등이 있다.

또한 10월 말까지 5개월 동안 소방․건축․전기․가스 등 합동점검을 실시해 화재안전등급인 A등급부터 E등급까지 분류할 예정이다. 진단결과에 따라 취약시장으로 드러난 곳에 대해서는 중기청과 시․도 등의 협의를 통해 시설 현대화사업 등에 우선적으로 반영한다.

◇ 전통시장 화재 수 2014년 기점으로 감소세->상승세

한편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전통시장 화재는 지난 5년간(2012~2016년) 총 386건이 발생했다. 2014년을 기점으로 감소세에서 상승세로 돌아섰다. 화재 원인은 누전, 합선 등 전기적 요인이 48%(184건)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부주의(26%), 기계적 요인(10%), 방화(3%) 등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은 점포 수 1,000개 이상의 대형시장으로 서울 12곳, 인천 1곳, 부산 5곳, 경북 1곳, 제주도 1곳 등 전국의 20곳이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