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 받는 허인式 '혁신금융' ... KB국민은행 '리브엠' 2년 연장
상태바
탄력 받는 허인式 '혁신금융' ... KB국민은행 '리브엠' 2년 연장
  • 김태영 기자
  • 승인 2021.04.14 1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혁신금융 1호 '리브엠(Liiv M)' 2023년 4월까지
"소비자 편익 기여"... 14일 금융위서 연장 결정
업계 "新부가가치 창출... 국민銀 혁신금융 선도"
당국, 부가 조건 구체화... 실적표 게시·판매 강요 금지
지난 2019년 10월 KB국민은행 알뜰폰 브랜드 '리브엠(Liiv M)' 출시 행사에서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왼쪽)과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허인 KB국민은행장이 요금제 찾기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시장경제신문 DB
지난 2019년 10월 KB국민은행 알뜰폰 브랜드 '리브엠(Liiv M)' 출시 행사에서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왼쪽)과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허인 KB국민은행장이 요금제 찾기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시장경제신문 DB

혁신금융 재지정 심사를 앞두고 노사갈등이 심화됐던 KB국민은행 알뜰폰 서비스 '리브엠(Liiv M)' 사업 연장이 최종 확정됐다. 금융과 통신을 결합한 혁신성과 알뜰폰 시장 활성화, 소비자 편익 증대를 고려했다는 평가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리브엠 혁신금융서비스 지정기간을 2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KB국민은행은 2023년 4월 16일까지 사업을 이어갈 수 있게 됐다.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출시된 혁신금융서비스의 특례기간은 최대 4년(2+2)이다. 앞서 오는 16일 1차 특례 기한 만료 임박에 따라 KB국민은행은 지난 1월 사업 연장을 신청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혁신금융심사위원회 심의와 금융위원회 의결을 거쳐 금융통신 연계시스템 고도화, 결합 금융상품 출시 등을 위한 기간이 추가로 소요되는 점 등 기간 연장의 필요성이 인정돼 혁신금융서비스 지정기간을 2년 연장했다"고 설명했다.

2019년 10월 출시된 리브엠은 국내 금융회사가 통신업에 진출한 첫 사례다. 알뜰폰 사업인만큼 통신 이용자에게는 저렴한 통신 요금제를 제공하고 기본적인 멤버십서비스 외에도 미사용 데이터의 KB포인트리 환급 등과 같은 금융과 결합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금융위원회 1호 혁신금융서비스로서 리브엠은 지난달 말 기준 12만3576건이 개통됐다. 가입자 수는 많지 않지만 상징성이 커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당국 연장 결정에 대해 시장의 평가는 대부분 긍정적이다. 리브엠의 경우, 금융과 통신의 경계를 허물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미래 혁신금융 트렌드를 선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 등 빅테크와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KB국민은행은 신사업 통해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며 "변화와 혁신에 걸맞는 탁월한 아이디어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동안 리브엠의 운명은 불투명했다. 은행 고유 업무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노조 주장 때문이었다. 노조 측은 사측이 행원에게 리브엠 가입자 유치 역할을 강요하면서 과당 경쟁을 유도하고 실적을 압박했다고 주장해왔다. 특히 금융위가 리브엠 사업 허가 과정에서 '은행 고유 업무 수행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부가 조건을 지키라고 명시한 상황에서 사측이 이를 위반했다는 것이다.

이에 금융위는 서비스 운영에 대한 부가조건을 구체화했다고 밝혔다. 금융상품 판매 시 핸드폰 판매, 요금제 가입 등을 유도하는 구속행위를 방지하고 은행 창구에서 통신업이 고유업무보다 과도하게 취급되지 않도록 은행 내부통제 장치를 철저히 시행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지역그룹 대표 역량평가 반영 금지, 실적표(순위) 게시 행위 금지, 직원별 가입 여부 공개 행위 금지, 지점장의 구두 압박에 따른 강매 행위 금지 등 부가조건을 구체화해 제시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국민은행 노사 간 입장차가 있어 혁신위 차원에서 협의를 적극 촉구해 왔으며 상당 부분 입장이 근접했으나 최종 합의에 이르기 전 시한이 도래했다"며 "이러한 사정을 종합적으로 감안, 그간 노사가 제기해 온 의견과 금융소비자 보호, 금융질서 안정 측면 등을 고려해 기존 부가조건을 구체화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