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후퇴한 한국... 가계 필수지출 비중 'IMF 수준'
상태바
22년 후퇴한 한국... 가계 필수지출 비중 'IMF 수준'
  • 오창균 기자
  • 승인 2021.04.04 1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대 필수 품목 지출 348조465억원
'삶의 질' IMF 외환위기 수준 회귀
한 소상공인이 망연자실한 채 텅빈 가게를 지키고 있다. 사진=이기륭 기자
한 소상공인이 망연자실한 채 텅빈 가게를 지키고 있다. 사진=이기륭 기자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와 코로나 장기화 사태로 서민들의 지갑이 쪼그라들면서 지난해 가계 필수 항목 지출 비중이 2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들이 꼭 필요한 곳에만 돈을 쓰고 여가생활 지출을 축소했다는 의미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가계 소비지출 가운데 4대 필수 품목의 지출은 348조465억원이었다. 이는 지난해 가계 전체 소비지출(851조7,512억원)의 40.9%에 달한다. 

4대 필수 품목 지출 비중이 40%를 넘은 것은 1999년(40.6%) 이후 처음이다.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42.7%) 이후 가장 큰 수치다. 사실상 실물경제가 무너졌다는 의미다.

가계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은 12개 항목으로 분류된다. 식생활 관련 부분, 전·월세·수도·관리비, 시설·운영·가전, 의료 보건 항목이 보통 4개 필수 지출 항목으로 꼽힌다. 지난해에는 매 분기 4대 필수 품목의 지출 비중이 40%를 넘었다. 1분기(40.6%)부터 4분기(41.4%)까지 갈수록 비중이 커졌다. 

서민경제가 22년 전으로 회귀하고 있다. 통상 경제가 발전하고 국민 소득이 늘어나 삶의 질이 높아지면 생존과 관련한 기본 지출 비중은 줄고, 오락·문화·교육·외식 같은 여가 지출 비중이 커진다. 하지만 현재는 거꾸로다.

특히 우리 경제의 모세혈관 역할을 하는 소상공인들의 고통이 심화된 모습이다.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달 29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1년간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응답자 1,545명 중 1,477명(95.6%)은 코로나 발생 직전인 작년 1월과 비교해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이들은 매출이 평균 53.1%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매출 감소율은 59.2%, 비수도권은 43.7%였다.

응답자의 81.4%(1,257명)는 부채가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이들의 평균 부채증가액은 5,132만원이었다. 자금 조달 방법은 정부정책자금이 48.1%로 가장 많았다. 제2금융권(16.2%)과 카드론(15.9%)이 뒤를 이었다. 소상공인 3%는 사채를 썼다고 했다.

조사 참가자의 44.6%는 폐업을 고려 중이라고 했다. 폐업 시기를 묻는 항목에는 6개월에서 1년 이내가 49.3%로 가장 많았다.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는 "코로나 사태가 1년 더 지속되면 절반에 가까운 소상공인은 생존이 어려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