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카드사 순익 2兆 불황형 흑자... "올해가 고비"
상태바
작년 카드사 순익 2兆 불황형 흑자... "올해가 고비"
  • 오창균 기자
  • 승인 2021.03.29 1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드사들, 허리띠 졸라매 비용 대폭 감소
총수익도 0.2% 뒷걸음질... 건전성은 양호
카드 수수료 재산정 앞두고 업계 '노심초사'
사진=시장경제 DB
사진=시장경제 DB

지난해 코로나 사태 속에서 카드사들이 불황형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짝 허리띠를 졸라맨 덕분에 비용이 크게 줄어들면서 당기순이익이 20%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카드사들은 울상이다. 선거를 앞둔 여권이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는 이유로 카드사에 재차 수수료 인하를 압박할 것으로 예상돼 업계 안팎에서는 전운이 감도는 분위기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개 전업 카드사의 지난해 순이익은 2조264억원으로 전년 대비 23.1%(3,801억원) 증가했다. 

카드사들은 마른 수건을 쥐어짰다. 지난해 카드사의 총수익은 20조1,515억원으로 2019년에 비해 0.2%(36억원) 오히려 줄었다. 구체적으로 카드론 수익은 1,906억원 증가했지만 가맹점수수료 수익과 현금서비스 수익이 각각 1,336억원, 930억원 감소했다.

비용 감소액은 3,838억원(2.1%)으로 수익 감소폭을 크게 상회했다. 특히 코로나 사태로 인해 해외여행이 감소하면서 제휴사지급수수료가 2,406억원 줄었다. 카드 대면모집 위축에 따라 모집비용도 1,187억원 감소했다.

생계 불안이 지속되면서 카드대출 이용액은 107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8%(1조9,000억원) 늘었다. 카드론 잔액은 35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2% 증가한 반면 현금서비스 잔액은 같은 기간 14.3% 줄어든 6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카드 이용 현황을 보면 신용·체크카드 이용액은 877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0.3%) 증가했다. 그러나 신용카드 이용액은 705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체크카드의 경우 전년에 비해 1조7,000억원 감소한 172조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신용카드 누적 발급매수는 총 1억1,373만매였다. 이는 전년 말(1억1,097만매) 대비 2.5%(276만매) 증가한 수치다. 다만 신용카드 발급매수 증가율은 2018년과 2019년 각각 5.6%에서 2020년 2.5%로 눈에 띄게 둔화됐다.

자산건전성과 자본적정성은 양호한 편이다. 지난해 말 카드사 연체율(총채권 기준)은 1.29%로 전년 말 1.43% 대비 0.14%p 개선됐다. 신용판매 부문 연체율은 0.64%로 전년 말 0.74%보다 0.10%p 하락했다. 카드대출 연체율도 전년 말 3.15%보다 0.26%p 개선됐다. 지난해 말 기준 조정자기자본비율은 22.3%로 전년 말과 동일했다. 규제비율(8%) 대비 높은 수준이다. 레버리지배율은 4.9배(규제비율 8배 이내)로 전년 말(4.8배)보다 소폭 상승했다.

문제는 앞으로다. 이르면 다음달부터 카드 수수료 재산정 논의가 본격화된다. 올해는 3년 주기로 카드 가맹점 수수료율을 정하는 시즌이다. 카드사들은 이미 수수료율을 많이 낮췄기 때문에 더 이상 여력이 없다며 손사래를 치고 있지만 여권은 추가 인하를 저울질하는 모양새다.

아직 수수료 재산정 논의를 위한 테스크포스(TF) 구성과 회의 일정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빠르면 4월 셋째 주부터 금융당국을 주축으로 실무회의가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여신금융협회는 다음달 중 카드 가맹점 수수료 원가분석 컨설팅을 담당할 회계법인을 정해 계약할 예정이다.

3년 전 금융당국은 우대수수료 적용구간을 30억원 이하로 확대하고 매출 5∼30억원 중소가맹점의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수수료율 각각 최대 0.65%p, 0.46%p 인하했다.

업계에선 코로나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의식해 여당과 당국이 선거 국면 속에서 수수료를 또 다시 낮출 공산이 크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카드사들은 각종 비용을 줄여가며 연명하고 있는데 여권이나 당국의 시각은 조금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여러 혜택을 감안하면 영세 소상공인의 수수료 부담이 사실상 0%에 가까운데도 불황형 흑자를 명분으로 수수료 추가 인하를 요구하면 더이상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온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