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확 바뀌었다... 한성희 사장 '안전경영' 주목
상태바
포스코건설, 확 바뀌었다... 한성희 사장 '안전경영' 주목
  • 신준혁 기자
  • 승인 2021.03.11 06: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사 CEO 유일, 국회 '산재 청문회' 출석
취임 직후부터 '임직원, 협력사 인식 개선' 강조
재해율 0.1%, 대폭 개선...'산재사망 최다' 오명 벗어
한성희 포스코건설 사장. 사진=포스코건설
한성희 포스코건설 사장. 사진=포스코건설

한성희 포스코건설 사장의 '안전경영' 방침이 회사 안팎의 조명을 받고 있다. 남다른 브랜딩 능력과 실적관리에 더해 안전경영을 실천하며 포스코그룹 내 입지와 위상이 한층 격상됐다는 평가다.

한 사장은 지난달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첫 환경노동위원회 청문회에 모습을 드러냈다. 부문장을 출석시킨 현대건설과 GS건설과는 달리 건설사 현직 CEO 가운데 유일한 참가자로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한 사장은 청문회장에서 시종일관 ‘안전경영’을 강조했다. 한 사장은 "재해발생 하청업체는 입찰제한, 등록취소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연 4회 안전관리 이행실태 점검을 하고 있다”며 “모든 협력사를 대상으로 실무자는 물론 대표까지도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사장은 2019년 12월 포스코건설의 산업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에 취임해 현장 중심의 안전경영을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당시 포스코건설은 산업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건설사로 낙인 찍혀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였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포스코건설은 2017~2019년 재해자 142명, 사망 19명의 산재사고를 기록했다. 사망자순으로는 건설사 중 가장 많았다.

취임 이후 한 사장은 협력사들이 자금적 여유를 갖출 수 있도록 대출과 상생펀드를 증액했다. 협력사의 가장 큰 고민거리인 금전 문제를 해결해 공사가 차질을 빚지 않도록 한다는 취지다.

대표적인 지원 제도인 '더불어 상생대출'의 대출한도를 계약금액의 50%까지 확대했고, 포스코건설과 계약체결 후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했던 대출 신청기간도 계약기간 50% 경과 전이면 언제든지 신청 가능하도록 했다. 협력사들은 포스코건설과의 계약관계를 근거로 보증서를 발급받아 별도의 담보 제공없이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을 수 있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이 프로그램을 이용한 협력사는 16곳으로, 총 122억원의 대출을 지원받았다.

아울러 업계 최초로 '최저가 낙찰제'를 폐지하고 '저가 제한 낙찰제'를 도입했다. 협력사는 최저가가 아닌 적정가에 사업을 낙찰 받을 수 있다. 적정가는 발주예산 내에서 최저가를 제외한 입찰금액 평균과 발주예산을 합산한 평균가의 80%이다. 협력사는 기존 수주액과 비교해 10% 이상 이윤이 늘어나는 셈이다. 

최근에는 ‘안전신문고’와 ‘위험작업 거부권’ 제도를 신설했다. ‘안전신문고’는 협력사 직원을 포함해 누구나 현장에서 불안전한 상태를 목격하거나 불안전한 작업을 요구 받을 경우 신고할 수 있는 제도다. 포스코건설은 신고자의 신분누설과 신원색출을 막기 위해 익명으로 신고한 경우 처리결과를 통보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신고자에 대한 인사상 불이익을 맞고 위반 시 처벌하는 내용을 명문화했다.

‘위험작업 거부권’은 현장 작업자가 작업 환경이 불안전한 상태를 목격하거나 불안전한 작업을 요구 받는 경우 작업을 중지할 수 있는 권리다. 협력사 직원 역시 중대위험 발견시 이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포스코건설의 일부 사업장에서 여전히 사망사고가 이어지고 있지만, 산업재해율은 2018년 이후 업계 최저 수준인 0.1%으로 내려갔다. 산업재해율은 전체 근로자 중 재해 근로자의 비율로, 사고 뿐만 아니라 근무 중 발생한 질병 등을 모두 포함한다.

한 사장은 15일 주주총회에 앞서 연임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내부에서는 실적과 안전경영 성과를 인정받고 있는 분위기다. 특혜와 비리 논란으로 불명예 퇴진이 잦았던 과거 포스코건설 수장들과는 확실히 다른 행보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어느 때 보다 안전의 가치가 중요한 시기다. 모든 현장에서 안전경영을 실천해 산업재해를 줄이고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실천할 수 있는 문화를 정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