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큐셀, 재생에너지 'RE100' 선언... ESG 경영 박차
상태바
한화큐셀, 재생에너지 'RE100' 선언... ESG 경영 박차
  • 유경표 기자
  • 승인 2021.02.09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50년까지 친환경 에너지로 100% 대체
김승연 회장 "ESG 강화, 지속가능성 높여야"
한화큐셀 진천공장 전경과 공장 옥상 태양광발전소. 사진=한화큐셀
한화큐셀 진천공장 전경과 공장 옥상 태양광발전소. 사진=한화큐셀

한화큐셀이 2050년까지 기업활동에 필요한 소비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대체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한화큐셀이 ‘친환경 기업' 이미지를 걸고 과감한 실천에 나섰다. 

9일 한화큐셀은 한국 재생에너지 기업 중 최초로 국내 사업장의 RE100 (Renewable Energy 100%)을 선언했다고 밝혔다. RE100은 기업 활동에 필요한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선언한 기업은 2050년까지 기존 소비 전력을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로써 한화큐셀은 사업 분야에 있어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 사업을 하며 저탄소 친환경 경제에 기여하는 것에서 나아가, 제조 및 사업 수행 과정에서도 재생에너지를 활용하게 됐다.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는 그린뉴딜 선도기업이자 글로벌 재생에너지 리더로서 위상을 굳히게 됐다는 평가다. 

한화큐셀은 기업, 기관 등 전기 소비자가 재생에너지 전력을 선택적으로 구매해 사용할 수 있도록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도입한 한국형 RE100(이하 K-RE100) 제도를 통해 RE100을 수행한다. 

글로벌 RE100 캠페인은 연간 전기 사용량 100GWh(기가와트아워)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참여를 권고하나, K-RE100은 재생에너지 사용을 독려하기 위해 재생에너지를 구매하고자 하는 국내 산업용, 일반용 전기 소비자 모두 에너지공단 등록을 거쳐 참여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시행하는 K-RE100의 이행수단은 5가지다. 일반 전기요금에 재생에너지 전력에 붙는 추가 요금인 ‘녹색 프리미엄’을 더해 한전으로부터 전력을 구입하는 ▲녹색 프리미엄제, RPS 이행에 활용되지 않은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직접 구매하는 ▲REC 구매, 한전 중개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소비자 간 직접 전력거래계약을 맺는 ▲제3자 전력구매계약(PPA), 기업 등 전기 소비자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직접 투자하는 ▲지분 투자, 자가용 재생에너지 설비로 생산한 전력을 직접 사용하는 ▲자가 발전 등이다. 

이 중 한화큐셀은 녹색 프리미엄제와 자가 발전을 통해 RE100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중장기적으로 전력 사용량, 배출권 가격 및 재생에너지 단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제3자 PPA 등 타 RE100 이행 수단을 병행할 예정이다. 해외 사업장의 경우 해당 국가의 RE100 제도 여건 등을 면밀히 검토 후 이행할 계획이며 연간 RE100 이행율은 대외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한다.
 

'선택' 아닌 '의무' 되는 RE100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ESG와 같은 지표는 이미 오래 전부터 글로벌 기업의 핵심 경영 원칙으로 자리잡아 왔다”며 “컴플라이언스 관점에서도 ESG를 강화해나가는 동시에 우리의 경영활동 면면에서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리더로서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탄소제로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환경 경영에도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라”라며 ESG 경영을 강조한 바 있다. 

김희철 한화큐셀 사장도 “세계 주요 태양광 시장에서 모듈 점유율 1위를 달성한 한화큐셀의 경쟁력을 적극적인 ESG 경영을 통해 더 강화할 것”이라며 “특히 친환경•저탄소 경제 시대에 탄소저감과 기후변화에 앞장서는 친환경 종합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세계적으로 RE100은 선택에서 의무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다. 유럽연합(EU), 미국, 중국, 일본 등 70여개국은 2050년, 늦어도 206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을 이루겠다고 선언했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해 10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선언하고 12월 정부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추진과제에는 고탄소 산업의 저탄소 산업으로의 전환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한국의 기후위기 대응이 늦어지면 한국 경제의 근간인 수출 산업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 결과도 나온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탄소국경세가 도입되면 한국은 미국, EU, 중국 등 3국에 수출하는 철강, 석유, 전지, 자동차 등 주요 업종에서만 한 해 약 5억3000만 달러(약 6000억 원)를 탄소국경세로 지불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규제가 강화되는 2030년 이후에는 이보다 3배 이상 증가한 16억3000만 달러(약 1조 8000억 원)를 지불해야 한다. 

한편, 한화그룹의 금융계열사들도 친환경 저탄소 활동을 통한 ESG 경영 실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 금융 6개사(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한화투자증권, 한화자산운용, 한화저축은행, 캐롯손해보험)는 최근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다. 

‘탈석탄 금융’은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 석탄발전소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참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금융 6개사는 향후 국내외 석탄발전소와 관련된 채권 인수를 중단하는 한편,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관련 자산에 대한 투자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