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1000점 만점 '점수제'로 바뀐다... 금융권 '난감'
상태바
신용등급, 1000점 만점 '점수제'로 바뀐다... 금융권 '난감'
  • 오창균 기자
  • 승인 2020.08.01 0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부터 최대 1000점 세분화 심사 적용
"점수제 적용으로 초기 혼란 불가피할 것"
CB사 등급 기준 제각각, 가이드라인 애매모호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금융산업 발전방향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는 모습.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금융산업 발전방향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는 모습.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내년부터 개인신용평가 체계가 1,000점 만점의 점수제로 바뀐다. 

금융위원회는 30일 개인신용평가체계 점수제 전환 관련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현재 금융권은 1~10등급로 나뉜 신용등급제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내년 1월 1일부터는 최대 1,000점 신용점수제가 적용된다.

금융당국은 신용등급 차이를 둘러싼 불이익을 해소하기 위해 점수제 활용을 추진해왔다. 예를 들어 등급제에서 7등급은 6등급과 신용도가 거의 유사하지만 대출 심사 과정에서는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당국은 이러한 문턱 효과를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향후 신용점수제로 평가체계가 전환되면 세분화된 심사를 통해 개인별 맞춤형 신용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금융위는 등급제로 평가상 불이익을 받는 금융소비자 250만명이 신용점수제를 통해 연 1%p 수준의 금리 절감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신용등급제가 여전히 폭넓게 활용되는 만큼 시장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지난해 1월부터 신한·국민·하나·우리·농협은행이 신용점수제를 시범 적용 중이다. 당국은 내년부터 범위를 모든 금융권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신용점수에 기반한 세분화된 심사로 금융회사별 유연한 여신승인·기한연장·금리결정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기대와는 달리 5대 시중은행을 제외한 금융업권은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가이드라인이 애매모호한 상황에서 당장 내부 신용평가시스템(CSS)과 고객 응대 매뉴얼을 뜯어고쳐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권은 신용정보회사(CB사)로부터 신용점수를 제공받아 자체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각 금융사마다 계약을 맺은 CB사 등급 기준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합의점 도출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카드사·증권사·보험사 등은 우선 신용점수제를 시범 적용한 은행권의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방침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점수로 고객의 신용도와 리스크를 따지려면 상당 기간 데이터를 축적하고 모델을 구축해야 하는데, 지난해 시중은행 시범 적용 당시 가이드라인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던 것처럼 초기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