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25시] 스타트업 랜드마크 ‘쟁탈전’… 서울시vs중기청
상태바
[시경25시] 스타트업 랜드마크 ‘쟁탈전’… 서울시vs중기청
  • 박진형 기자
  • 승인 2017.04.11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의 ‘서울창업허브’와 중소기업청의 ‘기업지원허브’가 스타트업 랜드마크를 놓고 헤게모니 싸움을 벌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표 업적 중 하나였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탄핵으로 존폐 위기에 몰리자 서울시와 중기청은 이 센터에 입주한 스타트업을 모집하기 위해 적극 공략에 나서는 모양새다.

사진=시장경제신문.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와 ‘지방 예산 삭감’, ‘대선 정국 변화’에 따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센터에 입주한 기업들의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라며 "이들을 유치하려고 보육센터 간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 5월 대선 결과가 나오면 이런 움직임은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움직임은 점점 가시화되고 있다. 서울시가 시위를 당겼다. 지난달 25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 따르면 서울시는 이 센터 입주 기업 64곳에 ‘서울창업허브 입주 우선권’을 준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보냈다. 시는 이 메일에서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최근 '최순실 국정 농단'과 연관된 의혹 때문에 사업 전반에 걸쳐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면서 "서울시는 입주 기업들의 피해가 없도록 창업 공간 제공과 함께 멘토링, 투자 유치 등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서울시·중기청, 스타트업 유치에 박차… 못하면 ‘빈손 사업’ 비판

'서울창업허브'와 '기업지원허브'은 대규모의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시설을 자랑한다. 양 기관은 수백 억 원의 예산을 들여 건물을 준공하거나 리모델링을 실시했다. 여기에 무료 임대료·월세·관리비 등을 감안할 시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총 예산은 수천 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없다면 스타트업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인정받을 수 있는 규모다. 그러나 이런 대규모 투자가 의미있는 성과를 얻지 못하면 수천 억 원의 예산을 날렸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이런 이유로 양 측은 스타트업 유치에 총력전을 펴고 있는 것이다.

◇ 너도나도 ‘공짜’ 혜택… “여기로 오세요~”

서울시와 중기청은 ‘무료’라는 간판을 내걸고 스타트업을 유혹하고 있다. 먼저 ‘서울창업허브’는 보증금·임대료·관리비가 없는 전액 무료로 사무실을 제공한다.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민간 등 운영 주체나 사업 목적에 따라 흩어져 있는 창업지원 정책을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종합 정보도 준다. 서울시 산하 24개 창업보육센터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또한 올해 총 1,000개(예비기업 545개·초기기업 395개·성장창업기업 60개 등)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유망 창업기업에게는 기업 당 연간 1,000만 원~최대 1억 원까지 투자한다. 예비창업인 1만 명에게는 체계적인 창업 교육을 실시한다.

중기청의 ‘기업지원허브’도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예비 창업자들을 지원한다. 업무 공간을 시세의 약 20~60%로 임대한다. 전용면적 3.3㎡당 3~6만 원으로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보증금과 관리비는 없다. 관계부처의 창업 컨설팅과 공용 테스트 장비, 오픈 랩, 소프트웨어 등 서비스를 지원한다. ‘창업 존(zone)’, ‘혁신기술 zone’, ‘ICT-문화융합 zone’, ‘교류·지원 zone’ 등 테마별로 미래부·국토부·문체부·중기청 산하 창업지원 관련 10개 센터가 약 300여 개 스타트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올해 8월 말부터 입주를 개시한다.

◇ ‘규모’ 중기청 크지만 ‘서울 마포구’ 지역 이점 작용하는 서울시

한편 양 기관의 스타트업 건물의 연면적 차이는 분명하다. ‘기업지원허브’는 지상 8층, 지하 2층 규모의 건물로 연면적은 7만9,000m²로 서울창업허브보다 5만5341m² 큰 규모다. 이곳에는 200개의 스타트업이 입주할 수 있다. 서울창업허브보다 연면적이 3배가량 넓은데 입주기업수는 단지 30개 사만이 더 입주할 수 있다. 이는 기업당 사용할 수 있는 사무실 공간이 더 넓다는 의미다. 

서울시의 서울창업허브는 서울 한복판(마포구, 구 산업인력관리공단)에 자리를 잡고 있어 지리적 이점이 우수하다. 인력과 산업 시설이 서울에 집중 돼 있어 다른 분야와 협업을 하기에 유리하다. 편리한 교통 환경으로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또한 연면적은 2만3,659m²이다. 170곳의 기업을 수용할 수 있다. 내부는 △오픈공간(1~3층) △창업지원공간(4~8층) △투자·판로·성과확산 공간(9~10층)으로 구성된다. 

앞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전국 17개 시·도에 18개가 있다. 서울의 경우 광화문 KT 사옥과 광화문우체국 사옥에 자리 잡고 있다. 정부와 서울시가 6대4로 운영비를 분담하는 구조이다. 서울시는 이미 지난 10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내년 서울시 지원액을 전액 삭감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의 조치에 대해 한 입주 기업 대표는 "검찰 수사 운운한 서울시 태도를 보니 곧 창조혁신센터 문을 닫고 우리를 다 쫓아내려는 게 아닌가 하는 두려움부터 앞섰다"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검찰 수사 대상이 아닌데도 서울시가 무리한 표현까지 써가며 입주 기업들을 빼내려고 하고 있다"면서 "서울시가 중단하겠다는 지원분까지 정부가 마련해 센터를 계속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