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번히 무산된 '아이스크림 정찰제'... 빙그레 총대 멘다
상태바
번번히 무산된 '아이스크림 정찰제'... 빙그레 총대 멘다
  • 김보라 기자
  • 승인 2019.11.07 1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톤형'이어 '제과형'으로 확대… 업계 반응은?
소매점 가격 차 커 정가 통일… 800원에서 1500원까지 2배차이
상시화되는 반값할인으로 제조업체 수익 악화 영향
사진=김보라. 할인마트에서 상시 세일중인 아이스크림.
사진=김보라. 할인마트에서 상시 세일중인 아이스크림.

빙그레가 아이스크림 가격 정찰제를 추진한다고 밝히면서, 슈퍼마켓 업계의 반발로 번번히 실패한 아이스크림 정찰제가 이뤄질지 업계서 주목하고 있다.

빙그레는 내년부터는 제과형 아이스크림인 '붕어싸만코'와 '빵또아' 등 품목을 확대해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빙그레는 가격 정찰제 시행 배경에 대해 "아이스크림이 소매점에 따라 판매되는 가격의 편차가 커 소비자들의 아이스크림 가격에 대한 불신이 높다"며 "가격 정찰제를 통해 아이스크림 시장 가격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붕어싸만코와 빵또아는 판매점에 따라 800원에서 1500원까지 2배 가까이 가격 차이가 났다. 가격정찰제 시행으로 붕어싸만코와 빵또아의 일반 소매점 판매가는 1000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지난 2015년 2조184억원을 기록했던 국내 빙과시장 규모는 지난해 1조6322억원으로 축소됐다. 특히 지난해는 기록적인 폭염이 장기간 이어졌지만 아이스크림 판매 가격이 하락하면서 2017년 1조6838억원보다 매출액이 오히려 3%가량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빙과시장의 축소는 상시 세일하는 판매점의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아이스크림의 가격은 제조사가 아닌 소매점이 정하는 '오픈 프라이스' 방식으로 결정된다. 이 때문에 빙과업체들은 동네 슈퍼에 저가납품을 지속하고, 80% 할인율을 내세운 아이스크림 할인 전문점까지 생겨나면서 수익을 내기 어려워졌다. 또한 대형마트와 동네마트, 또 편의점마다 제각각인 아이스크림(빙과류)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어 소비 정체로 이어졌다

앞서 빙과업계는 2016년에 '권장소비자가' 표기 방식으로 가격 정찰제를 도입을 추진해왔다. 당시 빙과업체들은 아이스크림 제품에 권장소비자가를 표기하고, 편의점, 대형마트를 제외한 소매점에 대해서는 빙과류 납품단가를 인상했지만, 슈퍼마켓 업계의 반발로 번번히 실패했었다. 

지난해 카톤 아이스크림을 중심으로 가격정찰제 도입을 재추진했지만,  업계에 안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롯데제과와 해태제과, 롯데푸드는 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상태다.

롯데제과는 지난해 '티코', '설렉션' 등 일부 품목에 한해 가격정찰제를 시행했으나 최근 폐지했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2012년 당시 가격정찰제를 업계에서 가장 먼저 도입했으나, 시장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아 현재는 안하고 있다"며 "가격정찰제 취지 자체에 대해서는 공감하나 시장 반응을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해태제과와 롯데푸드는 카톤 아이스크림에만 가격정찰제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해태제과 관계자는 "오랫동안 검토하고 있지만 당장엔 카톤 아이스크림 외에는 제과 아이스크림까지 정찰제를 시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푸드 관계자도 "카톤 아이스크림에만 가격정찰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