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경영 악화에도 억대 성과급 잔치... 국회 질타도 '무시'
상태바
수협, 경영 악화에도 억대 성과급 잔치... 국회 질타도 '무시'
  • 김보라 기자
  • 승인 2019.10.16 1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일 농해수위 국감서 수협 성과급 문제 제기
몇년 째 지적받지만 '모른척' 넘어가
부실경영으로 1997년 공적자금 1조1천억원 받아
사진= 이기륭기자.
사진= 이기륭기자.

수협중앙회가 경영악화에도 억대 성과급 잔치를 벌인 것이 밝혀져 논란이 되고있다. 특히 1997년 IMF시절 공적자금으로 지원받은 1조1581억원은 겨우 2500억원만 상환한 상태라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1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종회 의원에 따르면 수협은 지난해 대표이사와 감사위원장에게 각각 1억원이 넘는 경영 성과급을 지급했다. 앞서 2017년에는 수협은 대표이사와 감사위원장에게 성과급을 각각 1억원, 8000만원을 전달했다.

문제는 2016년을 기점으로 수협의 경영 상황이 내리막이라는 점이다. 수협중앙회 당기순이익은 2016년 412억원을 정점으로 2017년 225원, 지난해 208억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있다. 부채도 크게 늘었다. 지난 2015년 9조 6000억원대인던 부채는 2016년 약 11조원, 2017년 11조 4000억원, 2018년 12조290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3년만에 2조 6900억원이나 부채가 늘어난 셈이다.

김 의원은 수협중앙회 경영 상태가 나빠진 배경으로 주요 계열사 경영부진으로 꼽았다. 노량진 수산시장은 2015년 3억3500만원의 적자를 시작으로 이후 4년째 적자다. 2018년 부채는 300억원을 돌파했다. 수협이 매장을 직접 운영해 수산물을 파는 소매사업장인 바다마트 사업은 39곳을 개점했지만 21곳이 폐업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사정에도 불구하고 수협은 성과급 잔치를 했다고 김종회 의원은 비판했다. 김 의원은 "수협의 경제사업은 수협의 기반을 송두리째 흔들 뿐 아니라 조합원들에게 돌아가야 할 수익을 허공에 날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며 "뼈를 깎는 경영 합리화와 비상 경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수협의 성과급 논란은 한두번 도마위에 오른게 아니다. 지난 2004년에는 임원들에게 퇴임공로금 명목으로 19억6000만원을 지급하고, 이후 2010년 까지 임원들에게만 12억6900만원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지난해 국감에서도 김성찬 한국당의원은 사회공헌에 적극적이지 않은 수협의 성과급 문제를 꼬집었다.  

수협은 1997년 외환위기 때 1조1581억원의 공적 자금을 받아 회생했지만, 현재까지 2547억원만 상환하고 성과급 잔치를 벌이고 있는 것이다. 남은 상환액은 9034억원으로 2028년까지 상환완료해야 한다.

성과급뿐만 아니라 억대 연봉자 비율도 크게 늘어 논란을 가중시켰다.  

자유한국당 강석호 의원은 "수협중앙회의 공적자금 미상환액이 9034억원이나 되는데도 억대의 고액연봉자는 크게 늘어나 자구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수협중앙회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회 임직원 억대연봉자는 총 170명으로 2014년 65명에 비해 2.6배 가까이 늘었다. 전체 인원대비 억대연봉자 비율 또한 5.2%에서 12.0%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협중앙회는 몇년 째 지적받은 같은 문제를 해결하지도, 개선의 모습을 보이지 않고있어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강삼모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1조원 넘는 공적자금을 지원받을 정도로 경영이 악화된 상황에서 과다한 성과급을 받는것은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며 "다만 전년도에 비해 개선여부와 유사업종의 임원 성과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만약 전년도와 비교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면 비난의 소지가 있고, 성과급 본연의 의미와도 맞지 않다"고 설명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