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억 손실 'DLS 패닉'... 금감원, '불완전 판매' 조사 착수
상태바
수천억 손실 'DLS 패닉'... 금감원, '불완전 판매' 조사 착수
  • 배소라 기자
  • 승인 2019.08.20 1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판매 잔액 8224억원 중 우리은행 4000억, 하나은행 3800억원
가입자 95%가 개인 투자자... 환매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패닉
우리은행 독일 국채상품은 만기 한달 앞둬 원금 거의 잃을 위기
금감원에 접수된 분쟁조정 29건... 투자자들 개별 소송도 준비
​사진=시장경제신문 DB
​사진=시장경제신문 DB

금리연계 파생결합증권(DLS) 투자자 3600여 명의 1인당 평균 투자액은 약 2억원이며 이 상품의 지표 금리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원금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에 연동된 DLS에 돈을 넣은 투자자는 원금 2억원 중 1000만원 가량만 건질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주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국내 금융건의 주요 해외금리와 연동된 DLF(파생결합펀드), DLS(파생결합증권)의 판매 잔액은 총 8224억원에 달했다. 전체의 99.1%인 8150억원이 은행에서 펀드(사모DLF)로 판매 됐으며 나머지 74억원은 증권사가 사모 DLS로 팔았다.

'리스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들은 해당 상품을 프라이빗뱅킹(PB) 고객을 대상으로 사모(私慕) 형태로 판매했다. 우리은행이 4012억 원으로 가장 많이 판매했고, KEB하나은행이 3876억원, 국민은행 262억원을 팔았다. 증권사에서는 유안타증권이 50억원, 미래에셋대우증권이 13억원, NH투자증권이 11억원이 팔았다.

가입자 중 법인은 5% 뿐이고 95%(3654명)가 개인투자자들이었다. 가입액은 1인당 평균 2억원이었다. 독일 국채 연동 상품은 예상 손실률이 95.1%로 원금을 거의 잃을 위기고, 나머지는 예상 손실률이 56.2%로 계산됐다.

하지만 이는 7일 금리 기준으로 계산된 수치고, 19일 기준 금리가 7일보다 30% 이상 추락한 만큼 손실률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법인(188곳) 투자액은 898억원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은행이 사모형태로 판매한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DLF 상품은 손실 규모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올해 초 0.24%이던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지난 16일에는 –0.69%까지 떨어지며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최악의 경우 원금을 모두 날릴 위험이 있었다.

이 상품의 만기는 다음 달부터 11월 사이에 집중되는데, 이때까지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면 투자자들은 원금의 95.1%인 1204억원을 날리게 된다.

KEB하나은행이 주로 판 영국 CMS(이자율 스와프) 7년물 또는 미국 CMS 5년물 연계 상품도 판매 잔액 6958억원의 85.8%(5973억원)가 손실 구간에 있다. 만약 내년 만기 때까지 지금 수준의 금리가 유지되면 평균 예상 손실금액은 3345억원(56.2%)에 이른다.

금융당국은 이번 주부터 문제의 DLS 판매사인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 등과 발행사, 운용사 등을 대상으로 합동검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구조가 복잡한 데다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이 상품들이 다수의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된 점을 감안해 “독일이 망하지 않는 한 원금 손실 가능성은 없다”는 식으로 불완전판매가 조직적으로 이뤄졌는지 상품 설계에서부터 판매까지 들여다볼 계획이다.

투자자들은 원금을 조금이라도 건지려면 환매를 해야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하며 패닉에 빠졌다. 우리은행의 경우 첫 만기가 한달 앞으로 다가와 이미 대부분의 투자자가 전액 손실 구간에 진입한 상태다. 현재 0.7% 수준인 독일 국채 금리가 단기간에 –0.2% 위로 급등하지 않는 이상 회생하기 어렵다.

하나은행의 경우 내년 만기까지 기간이 남아 있지만, 투자자들은 상품을 지금 환매할 경우 손실이 확정되고 나중에 금리가 회복되면 원금을 더 건질 기회를 잃어버릴 수 있다. 은행들은 일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이다. 환매 수수료를 받지 않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자본시장법에 저촉되기 때문에 이 조차도 불가능하다.

투자자들은 금감원에 분쟁조정 신청을 하거나, 개별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까지 금감원에 접수된 분쟁조정 신청은 29건으로, 만기 이후 손실이 확정되면 민원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