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우선협상자, 우리銀-MBK로 뒤집혔다
상태바
롯데카드 우선협상자, 우리銀-MBK로 뒤집혔다
  • 양원석 기자
  • 승인 2019.05.21 18: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롯데그룹,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기존 인수 후보 한앤컴퍼니, 대표 ‘탈세 의혹’ 불거지며 역전 허용
우리은행 인수 시 카드업계 지각변동... 비은행 부문 경쟁력 강화
롯데그룹은 롯데카드의 새 우선협상대상자로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을 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사진=시장경제 이기륭 기자.
롯데그룹은 롯데카드의 새 우선협상대상자로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을 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사진=시장경제 이기륭 기자.

롯데카드의 새 주인을 찾기 위한 매각작업이 막판 요동을 치고 있다. 당초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사모펀드 대표의 탈세 의혹 및 이로 인한 검찰 피소 등 돌발변수가 불거지면서 우선협상대상자의 얼굴이 바뀌는 이변이 일어났다.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21일, 롯데카드의 새 우선협상대상자로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을 재선정, 당사자에게 그 사실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롯데그룹은 “우선협상대상자와의 협의를 통해 새로운 결정사항이 나올 경우 즉시 공시하겠다”고 말했다. 롯데 측의 우선협상대상자 교체는, 이달 3일 본입찰을 통해 사모펀드 한앤컴퍼니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지 18일 만이다.

한앤컴퍼니는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된 후 롯데그룹과 매각 협상을 벌여왔다. 롯데 측은 우선협상시한을 넘겨가며 한앤컴퍼니와 머리를 맞댔으나 이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변수가 속출했다.

한앤컴퍼니는 토종 사모펀드(PEF) 운용사로, 모건스탠리 아시아 최고투자책임자(CIO)를 지낸 한상원 대표가 2010년 설립했다. 2017년 국내 1위 중고차 기업 SK엔카를 인수하면서 업계의 비상한 주목을 받았다.

한앤컴퍼니는 3일 진행된 롯데카드 본입찰에서 매각금액으로 1조4,400억원을 써내 하나금융지주,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매각 협상 도중 한 대표의 탈세 의혹이 불거지면서 흐름이 꼬이기 시작했다.

의혹 초반 롯데 측은 “한앤컴과의 협상에는 문제가 없다”며 매각작업 추진에 강한 의지를 나타냈으나, 한 대표에 대한 고발장이 검찰에 접수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특히 검찰 수사 결과 ‘대주주 적격성 심사’에서 낙마할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롯데 측이 우선협상대상자 교체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는 것이 업계의 기본 시각이다. 롯데카드 노조가 사모펀드로의 매각에 강한 거부감을 나타내며, 최악의 경우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뜻을 밝힌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롯데그룹은 공정거래법상 금산분리 규정에 따라 지주사 설립 만 2년이 되는 올해 10월 안에 금융계열사를 정리해야 한다. 그룹에 포함된 금융계열사는 롯데카드, 롯데손해보험 등 2곳이다.

롯데 측은 ▲한앤컴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의 장기화 가능성 ▲수사 결과에 따라 대주주 적격성 심사에서 탈락할 위험 ▲올해 10월 안에 매각 절차를 마무리해야 하는 시간적 제약 등을 모두 고려해 우선협상대상자 교체카드를 꺼낸 것으로 보인다.

한앤컴에 밀린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이, 매각조건을 수정한 제안서를 롯데그룹 측에 다시 보낸 사실도 우선협상대상자 교체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있다.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은 지난주 롯데그룹에 수정 조건을 반영한 제안서를 다시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위 컨소시엄이 매각금액을 한앤컴퍼니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였을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이 롯데카드의 새 주인이 될 경우, 카드업계의 지각변동은 불가피하다. 매각작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MBK파트너스와 우리은행은 롯데카드 지분을 각각 60%, 20%씩 보유한다. 나머지 20%의 지분은 롯데카드의 몫이다.

우리은행은 MBK파트너스가 수익 실현 후 주식을 처분할 경우, 그 지분을 우선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이 MBK파트너스 지분을 모두 인수해 롯데카드의 주인이 되면, 카드 부분 자산과 시장점유율은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이 경우, 우리은행은 ‘비은행 부문 경쟁력 강화’라는 중장기 목표 달성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