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대 신중년, 매년 고용의 질 감소... "경력설계 지원 필요"
상태바
50~60대 신중년, 매년 고용의 질 감소... "경력설계 지원 필요"
  • 이준영 기자
  • 승인 2019.04.21 15: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영업·단순노무직 비중 증가…이·전직 서비스 강화, 직업훈련 기회 확대 시사
신중년 경제참가율. 표= 한국고용정보원

신중년(50~69세) 경제참가율은 매년 증가추세지만 그 속도는 둔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영업자와 단순노무직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신중년들의 전직 및 생애경력설계를 지원하는 정책과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1일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간한 '신중년 경력개발 상담자를 위한 역량강화서' 보고서에 따르면 신중년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8년 63.1%에서 2017년 68.7%로 약 5.6%포인트 증가했다. 

최근 10년간 신중년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살펴보면 ▲2012년 65.8% ▲2013년 66.6% ▲2014년 67.8% ▲2015년 68.1% ▲2016년 67.9% ▲2017년 68.7% 등 최근 들어 증가폭은 다소 둔화되고 있다. 

최근 10년간 신중년 실업률을 살펴보면, ▲2008년 1.8% ▲2009년 2.3% ▲2010년2.7% ▲2011년 2.3% ▲2012년 2.3% ▲2013년 1.9% ▲2014년 2.3% ▲2015년 2.5% ▲2016년 2.5% ▲2017년 2.4%로 나타났다. 연도별 증감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약2%대를 유지하고 있다. 

연령대별 실업률을 살펴보면 50대가 2.2%, 60대가2.9%로 고연령층의 실업률이 다소 높았다. 또한 또한 최근 10년간 변화추이에서도 60대가 2008년 1.5%에서 2017년 2.9%로 약1.4%증가했다. 이는 50대(0.2%)에 비해 높은 증가 폭이다.

신중년 취업자의 종사 지위를 살펴보면 임금 근로자(상용, 임시, 일용)는 63.2%로 나타났고, 비임금 근로자(고용주, 자영업자, 무급 가족 종사자)는 36.9%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22.7% 인데 비해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고용주)는 7.9%에 불과했다. 신중년들이 소규모 점포 창업 등 영세한 자영업으로 진출하고 있다는 얘기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비율은 50대(19.3%)에 비해 60대(29.9%)가 훨씬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영업 진출자가 늘어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일자리 퇴직 후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신중년들이 어쩔 수 없이 진로 대안으로 창업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중년 취업직종 분포도. 표= 한국고용정보원

종사상 지위는 연령대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상용직의 경우 50대가 높은 비율(50대 42.5%, 60대 24.4%)을 차지하고 있고, 임시직 및 일용직의 경우 60대가 높은 비율(50대 24.1%, 60대 31.2%)을 차지했다. 이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상용직 임금 근로자의 비중이 줄고, 자영업자의 비중이 늘어났다. 그만큼 나이가 많을수록 재취업에 어려움이 많고 고용 형태 또한 불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신중년 직종 분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50대에서는 관리자 및 전문가(15.9%)와 사무직(11.9%)의 비중이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60대에서는 관리자 및 전문가(7.8%), 사무직(4.8%) 비중이 낮아졌다.

반면 단순 노무직 비중은 50대가 15.1%인데 비해 60대는 28.4%로 두배 가량 증가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일자리의 하향 이동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연령이 상승함에 따라 자영업 진출자가 증가하고, 임시직 및 일용직, 단순 노무직 등의 취업자 비중이 증가하는 등 고용 형태가 불안정해지고, 고용의 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신중년들이 퇴직 후 본인의 경력 경로를 사전에 설정하고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경력 개발과 관리, 이·전직 서비스 강화, 직업훈련 기회 확대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또 "지금의 신중년은 경제적으로 안정적이고 활력 있는 노후를 위해 더 오래 현업에서 일하고 싶어 하는 요구가 높기 때문에 이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일자리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