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늘린다던 유통기업들, 되레 폐점·매각 늘렸다
상태바
일자리 늘린다던 유통기업들, 되레 폐점·매각 늘렸다
  • 이준영 기자
  • 승인 2019.04.21 15: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롯데·신세계·홈플러스 등 점포 구조조정… 입점업체 소속 직원들 사실상 실직
롯데백화점 인천점 전경. 사진= 인천도시공사

문재인 정권이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자 주요 대기업들은 경쟁하듯 이에 동조하고 나섰다. 롯데, 신세계 그룹도 각각 5년간 7만개, 연1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하지만 유통환경이 변화하며 일자리 창출이 녹록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유통 대기업들은 점포 구조조정을 통해 대대적인 부실점포 정리에 나서고 있다. 온라인·모바일 쇼핑 증가와 정부규제강화 등으로 오프라인 매출 성장 부진이 이유다. 

◇줄줄이 문닫는 점포들… 롯데가 가장 적극적

점포 구조조정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롯데다. 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현재 매물로 나온 인천점과 부평점과 대구 영플라자 등 폐점이 확실시 된 곳 외에도 롯데아울렛 항동점과 가산점의 영업종료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1020세대를 겨냥해 내놓은 미니백화점 엘큐브 2곳도 영업종료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롯데쇼핑은 초기 엘큐브를 2020년까지 100개 점포로 늘린다는 포부를 밝혔지만 현재 1호점인 홍대점과 5호점인 부산 광복점의 사업 종료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신세계도 점표효율화를 이유로 주요 점포를 정리하거나 업태를 바꾸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마트는 2017년 서울 장안점을 노브랜드로 바꾸고, 울산 학성점과 대구 시지점을 폐점했다. 반면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트레이더스는 기존 11개에서 15개로 늘렸다.

홈플러스 역시 2017년 8월 동김해점을 폐점하고, 부천중동점도 수익성 악화로 영업을 종료했다. 

◇폐점은 백화점이 결정… 일자리는 입점업체가 해결

백화점이 폐점을 결정하지만 입점업체 소속 직원의 일자리는 입점업체에서 알아서 해결해야 한다. 백화점은 입점업체의 인사문제에 관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백화점 관계자는 "백화점 정규직들은 순환배치로 인근 매장에 재배치하지만 입점업체 소속 근로자들에 대해선 노동관계법상 관여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브랜드 자체적으로 근로자 순환배치 등을 추진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사실상 입점업체 직원들은 점포가 폐점하면 일자리를 잃거나 주거지에서 상당히 먼 곳에 배치받아 사실상 퇴직을 강요받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 백화점 매장 직원은 "서울 지역 매장들은 자리가 거의 없어 경기도 지역 매장으로 배치 받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말했다. 이어 "출퇴근이 불가능한 곳에 배치받으면 자진해서 관둘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부실점포 정리에 대해선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백화점 관계자는 "매출이 낮은 점포에서 매달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것보단 차라리 타 점포로 옮기는게 오히려 낫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한 백화점 매니저는 "매출이 높은 점포는 경쟁이 치열해 근무배치 받는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차피 옮겨도 비슷한 규모의 점포로 옮겨질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결국 폐점 점포가 늘어날수록 유통업계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은 정해진 수순이다. 백화점 관계자는 "정부기조에 맞춰 일자리 창출을 노력하고 있다"며 "일자리가 오프라인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니 타 직군 일자리를 늘리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