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세일페스타, 정기세일과 무슨 차이?... 불거지는 '無用論'
상태바
코리아세일페스타, 정기세일과 무슨 차이?... 불거지는 '無用論'
  • 이준영 기자
  • 승인 2018.10.07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매입하는 美업체, 임대업하는 한국업체… 유통구조 달라
코리아 세일 페스타 로고. 사진= 코리아 세일 페스타 홈페이지.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불리는 '코리아 세일 페스타(이하 코세페)'의 실효성 논란이 올해도 제기되고 있다. 물량과 가격의 주체인 제조업체가 빠졌고, 할인율도 정기세일과 큰 차이가 없어 '반쪽짜리'란 지적이다.

코세페는 지난 2015년 내수경기 활성화를 목적으로 정부차원에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로 시작해서 2016년에 현재 이름으로 바꿔 진행해오고 있다. 올해는 지난달 28일부터 오는 7일까지 열흘간 진행된다. 유통업체들은 주요 브랜드를 최대 80% 할인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에 나서고 있다.

올해로 3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코세페는 매년 실효성 논란이 있었다. 이 논란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까지 나서 코세페를 독려했지만 소비자와 업계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지난달 30일 성 장관은 롯데마트 서울역점을 방문해 "올해는 소비자가 선호하고 만족할 수준의 할인율을 제시할 수 있는 업체를 선정하고, 기간을 단축해 집중도를 높이는 등 정부와 민간이 합심해 열심히 준비했다"고 말했다.

◇미국판 '블프' 꿈꾸지만… 유통구조 달라 '요식행위' 지적

정부는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를 꿈꾸며 코세페를 도입했지만 국내 유통구조를 간과한 정책이란 지적이다. 실제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와 국내 코세페는 확연한 온도차이를 보인다.

우선 할인율이 일반 정기세일과 차이가 없다. 일부 제품은 오히려 더 비싼 경우도 있다. 백화점 한 매장 직원은 "코세페나 정기세일이나 본사에서 나오는 제품과 가격은 똑같다"며 "이정도 세일은 평상시에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 이름만 바꿔 크게 뭔가 할인하는 것 같지만 고객 낚시용 제품 몇 개만 큰 폭으로 할인할 뿐 인기제품들의 할인율은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국내 유통업계는 이런 차이가 생기는 가장 큰 이유로 '유통구조'를 언급한다. 미국과 국내 유통구조가 달라 미국처럼 똑같은 할인율을 적용할 수 없다는 것.

코리사 세일 페스타를 준비하는 백화점. 사진= 현대백화점

국내 백화점·마트·아울렛 등은 각 브랜드에게 공간을 내주고 임대료를 받는 임대사업자다. 미국·유럽 등의 유통기업들처럼 제품을 직매입해 판매하는 구조와 다르다. 따라서 국내 유통기업들은 팔고 남은 재고상품을 떨이수준으로 대폭 할인해 팔 수가 없다. 

업계관계자는 "유통업체를 압박하는 것이 아닌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정책을 펼쳐야 진정한 의미의 코리아 세일 페스타가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불거지는 무용론(無用論)… 참여·호응도 점점 감소

코세페의 실효성 논란를 넘어 무용론까지 불거지는 상황이다. 시장의 요구가 아닌 정부주도의 '반강제성' 행사가 거듭되니 업체들도 참여는 하지만 그리 반겨하진 않는 모양새다.

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 등에 따르면 올해 코세페 책정 예산은 34억5000만원으로 지난해 51억원보다 대폭 줄어들었다. 참여 기업도 327개로 지난해보다 120여 곳이 적다. 백화점은 8개로 지난해 16개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고, 온라인 쇼핑몰도 69곳으로 전년대비 43곳으로 급감했다. 해외 브랜드도 지난해 18개국 28개업체에서 11개국 24개 업체로 감소했다. 

소상공인 예산은 13억원으로 지난해 27억8000만원의 절반도 안되는 수준이다. 정부는 전통시장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강조하지만 실제 행정은 이를 무색하게 만드는 수준이다. 이에 반해 개막식 초청 아이돌 그룹과 메인모델 지급료 등이 포함된 기획홍보 예산은 21억 5000만원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다.

행사 기간도 애매하다.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11월 말), 중국의 광군제(11월11일), 영국의 박싱데이(크리스마스 다음날)등 세계 주요 할인행사 대부분은 연말즈음부터다.

하지만 코세페는 국내 최대 명절인 추석 연휴에 걸쳐있다. 추석시즌은 여행, 선물 등 각종 지출이 많은 시기다. 주머니가 가벼운 상황에서 또 소비하는 것은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고 업계는 지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세페의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제조업체까지 참여할 방안을 강구해야 효과적인 국가 행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